한국 발전상 체험과 이해를 위해, 전세계 46개국 한글학교 교사들, 22일 인천서 연수
-재외동포청, 한글학교 관계자 232명 초청해 역량 강화 교육
(뉴스코리아=인천) 이창호 기자 = 차세대 정체성 교육을 위해 전세계에서 애쓰는 한글학교 교사들이 재외동포청(청장 이기철) 초청으로 고국을 찾아 한국어 교수법을 배우고, 한국의 발전상을 체험하고 이해하는 시간을 갖게됐다.
재외동포청은 22일부터 6일 동안 인천 연수구에 있는 송도컨벤시아에서 ‘2024년 한글학교 교사 초청 연수’를 개최했다.
이번 연수에는 전 세계 46개국에서 한글학교 교사 및 교장 232명이 참가했다. 이들은 지난 1일부터 3주 동안 온라인 사전 연수를 통해 한국어와 한국 문화·역사 교수법을 집중적으로 배웠다.
초청 연수 기간에는 온라인 수업에서 학습한 한국어 교수법 등을 집중적으로 실습하고, 교사 스스로가 한국에 대한 자긍심을 갖고 차세대 동포들을 가르칠 수 있도록 전시관 관람 등 한국의 발전상을 직접 체험하고 이해하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아울러 이번 연수에서는 5개의 전체교육, 5개의 분과 교육, 지역/종합 토론, 한국의 발전상 체험, 초등학교 수업 참관 등으로 진행된다.
전체교육에서는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진행하는 특강 및 토크콘서트, 수업 우수사례와 학교 운영 모범사례 공유, 한국의 발전상 알리기 방안에 대한 전체 토론 등이 마련된다.
이에 한글학교 교사들은 독일 출신 한옥 건축 전문가인 텐들러 다니엘의 ‘재외동포로서의 삶과 발전된 한국에 대해 느끼는 자긍심’에 대한 특강을 듣고, 조병영 한양대 국어교육과 교수가 진행하는 ‘한글학교 교사에게 필요한 역량과 수업 전략’에 대한 토크콘서트에도 참여할 예정이다. 또한 각국 한글학교의 우수한 수업 사례와 학교 운영 사례를 청취하고, 유용한 정보를 공유하는 자리도 갖는다.
분과교육에서는 온라인 연수에서 학습했던 한국어 말하기와 글쓰기 교수법, 수업 활용도가 높은 에듀테크 활용 교수법 관련 실습 교육이 진행되며, 교사를 대상으로 한 효과적인 수업 운영법, 교장을 위한 학교 운영 컨설팅 등 참가자별 맞춤형 교육도 이뤄진다.
참가자들은 연수 3일차인 24일 한국경제발전전시관을 찾아 자랑스러운 대한민국의 발전상을 직접 체험하고, 다음 날 한국 발전상의 교육 방법 및 효과적인 현지 전파 방안에 대해 집중적으로 토론도 한다.
지난해 연수 참가자들의 요청에 따라 연수 5일차에는 한국 초등학교 수업을 참관하고, 해당 교사와의 질의응답도 진행한다.
본 기사는 독자들이 후원 해주시는 소중한 후원금으로 제작 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익하셨다면 기자에게 원고료를 후원해주세요.
아래 후원하기를 누르신후 추천인란에 담당 기자의 이름을 적어주시면 기자에게 원고료가 지급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