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대·신안군·ISCN, 해양 탄소흡수력 주목한「청색 적응(Blue Adaptation)」국제포럼 개최

- 조선대·신안군·ISCN 공동 주최, 섬 지역 기후위기 대응과 해양경제 활성화 방안 논의 - '청색 적응' 전략에 대한 구체적 사례 발표와 토론 진행 - ISCN의 첫 국제 협력 활동으로서의 의의 - 내년 포럼은 인도네시아 수라바야와 발리에서 개최 예정

2024-11-07     허승규 기자
해양 탄소흡수력을 강조한 '청색 적응(Blue Adaptation)' 국제포럼에 참석한 연사들과 조선대·신안군·ISCN 관계자들의 기념사진   @조선대학교

 

(뉴스코리아=서울) 허승규 기자 = 섬 지역의 기후위기 대응과 해양경제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모델이 제시된 "2024 섬 기후위기 대응과 지속가능발전 국제포럼(이하 포럼)"이 10월 31일 조선대학교에서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해양 탄소흡수력 주목한 '청색 적응(Blue Adaptation)' 전략과 실행방안 등에 관련된 전문가들과 관계자 등 약 150명이 참석자들이 발표내용을 듣고 있다 @조선대학교

 

포럼은 전남 지역 최초로 ‘섬과 해안 지역의 기후위기 대응’을 주제로, 해양과학기술·경영·인권·에너지 전환·순환경제·지속가능관광 등 각 분야 전문가들과 광주시 교육청·공공재단·고등학교·대학교 관계자 등 약 150명이 참석해 깊이 있는 논의를 펼쳤다. 

 

기후변화로 인해 해수면이 상승한다는 것은 저지대 침수뿐만 아니라 최근 상하이와 필리핀, 마이애미처럼 폭풍과 해일이 잦아져 섬 국가, 항만과 해안가 도시들이 큰 타격을 받는다는 뜻이다 @조선대학교

 

포럼에서는 인도네시아, 필리핀, 태평양 도서국 등의 섬 지역 사례를 통해 ‘섬과 연안 지역의 기후위기 대응 방안’과 ‘청색 적응(Blue Adaptation) 전략의 효과’에 대한 다채로운 시각이 제시되었다.

 

‘2024 섬 기후위기 대응과 지속가능발전 국제포럼’ @ISCN(Indonesia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Center Network)

 

이번 포럼은 조선대학교, 신안군, 그리고 인도네시아 지속가능발전목표센터네트워크(ISCN)의 공동 주최로 이루어졌으며, 각 기관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청색 적응 전략 중심의 구체적인 협력 방안과 대안들을 논의했다.

 

기조 연설: 해양 탄소흡수력 기반의 청색 적응 전략 
김춘성 조선대학교 총장은 기조연설에서 '조류의 탄소 흡수력을 중심으로 해양 자원을 활용한 탄소중립 전략과 해양산업 활성화' 방안을 발표하며, 탄소흡수력을 강화하는 청색 적응 전략이 기후위기 대응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강조했다.

 

기후변화 지킴이 '맹그로브'는 1 헥타르 당 약 1,000톤 탄소를 저장하고 해일로부터 인간을 보호하는 방파제 역할을 한다   @뉴스코리아 허승규 기자

 

이어 ISCN 회장 바유 아리에 피안토는 '인도네시아 지속가능 발전 모델과 청색 적응이 환경적 및 경제적 회복력 강화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를 소개했다. 

 

열대우림보다 최대 5배의 탄소를 흡수하는 맹그로브 숲 @뉴스코리아 허승규 기자

 

인도네시아 젬버대학교의 데위 프리하티니 교수는 '지역사회 주도의 혁신 사례'를 공유하며 지속가능 발전을 위한 구체적 접근 방법을 제안했다. 

인도네시아 해양 및 소규모 섬 연구개발센터장인 누르잔나 누르딘과 하사누딘 대학의 무함마드 유스리 잠후리 교수는 원격탐사 기술과 현장 조사 데이터를 활용해 인도네시아 해양 생태계 변화를 분석하고, 이를 환경 정책에 반영하는 과정을 설명했다.

 

사례 발표: 인도네시아, 필리핀 및 태평양 섬지역의 청색 적응 전략 실행 사례

 

인도네시아 람풍대학교 SDGs 센터 우낭 물크한 자문, 필리핀 호셀리토 코스타스 대표, 박재아 태평양기후위기대응협의회 사무처장 등의 사례 발표 강연 모습 @조선대학교

 

사례 발표 강연에는 인도네시아 람풍대학교 SDGs 센터 우낭 물크한 자문이 인도네시아 숨바 섬의 재생에너지 프로젝트와 라자 암팟의 해양 보호 활동을 통해 청색 적응 전략이 해양 생태계 보호와 지역사회 발전을 촉진할 수 있음을 강조했다. 

 

필리핀 섬 숙소에 비치된 환경보호선언문과 나무를 이용한 블루투스 스피커 @뉴스코리아 허승규 기자

 

이어 마을기반관광(Community-Based Tourism) 전문가인 호셀리토 코스타스 대표가 필리핀 세부섬의 보호(Bojo) 마을 사례를 통해 청색 적응 전략이 지역사회 경제 발전에 기여한 방식을 설명했다. 

박재아 조선대학교 대외협력외래교수이자 태평양기후위기대응협의회 사무처장은 섬 생태계 흐름을 유지하며 경제 활동을 이어온 피지, 사모아, 마셜제도, 세이셸 등의 섬 주민들의 전통 어업법과 해양 생태계 보전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소개하며, 태평양과 인도양 도서 지역의 지속가능 발전 모델을 공유했다.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만큼 아름다운 섬 풍경. 푸른 하늘, 에메랄드빛 바다, 녹색 산림은 신이 인간에게 내린 축복이자 지켜야할 선이다 @뉴스코리아 허승규 기자

 

패널 토론: 기후위기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대학의 역할

 

패널 토론에서 하사누딘 대학의 무함마드 교수가 발언하고 있다 @조선대학교

 

강연과 사례발표 후, 김현우 조선대학교 대외협력처장의 사회로 ‘기후위기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대학의 역할’을 주제로 한 패널 토론이 이어졌다. 패널에는 헨니 트리부아나 친나와라 교수, 하사누딘 대학의 무함마드 교수, 자카르타 샤리프 히다야툴라 국립이슬람대학교의 릴리 수라야 교수, 윤성도 (사)탄소중립기업경영지원재단 사무처장이 참석했다. 

 

협약 체결과 문화 탐방 

 

조선대학교와 신안군, ISCN, 그리코(Grico)의 업무협약식 @조선대학교

 

포럼 전후로 협약식 및 문화 탐방 활동이 진행되었다. 포럼 당일 오전에는 조선대학교와 신안군, ISCN, 그리코(Grico)가 섬과 해안지역의 폐기물 문제 해결과 한국의 ICT 기술 협력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식에서 김춘성 총장은 조선대학교의 ESG 경영체계와 SDGs 기반 교육과정 도입을 강조했으며, 그리코는 폐기 농산물을 이용한 생분해성 플라스틱 기술과 자원 순환, 탄소중립을 위한 협력을 약속했다.

포럼을 마친 다음 날에는 인도네시아 교수진 전원이 위성옥 조선대학교 관학협력센터장의 인솔로 광주동구문화관광재단의 안내를 받아 5·18 민주광장을 방문해 민주주의와 인권의 가치를 되새겼으며, ‘전일빌딩245’에서 민주항쟁의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는 도슨트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5·18 민주광장을 방문한 인도네시아 교수들 @광주동구문화관광재단
전일빌딩245를 방문한 인도네시아 교수들 @광주동구문화관광재단

 

포럼의 의미와 후속 계획 

이번 포럼의 가장 큰 의의는 섬 지역의 청색 적응 전략과 지속가능한 발전 방안을 국제적으로 논의하며, 섬과 연안 지역의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실질적인 협력과 기술 교류 기틀을 마련한 것에 있다.

또한 ISCN의 첫 국제 협력 활동으로 큰 의미를 가진다.

 

ISCN은 인도네시아 국가개발계획부(Bappenas)의 지원 아래 설립된 세계 최초의 국가 단위 SDGs 네트워크. 사진은 ISCN 58개 대학을 대표하여 방한한 교수들 @조선대학교

 

ISCN은 인도네시아 국가개발계획부(Bappenas)의 지원 아래 설립된 세계 최초의 국가 단위 SDGs 네트워크로, 인도네시아의 58개 대학이 연합하여 지속가능한 발전 목표를 추진하고 있다.

 

ISCN의 7명의 교수들은 '인간이 만들어낸 기후변화와 일회용품 쓰레기 때문에 섬 생태계가 극심한 고통에 시달리고 있다'고 말하며, '결국 우리 인간은 현명할 것'라며 엄지척을 올리고 있다 @조선대학교

 

이번 포럼은 프라보워 수비안토 대통령 정부의 강력한 지지를 받아 진행되었으며, ISCN의 7개 대학 교수진이 참석해 ‘청색 적응’을 통한 기후위기 대응 및 지속가능한 발전 방안에 대해 발표하고 토론하며 국제적 인사이트를 제시했다.

한편, 조선대학교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4대 특성화 교육혁신사업의 중심 분야로 삼고, 지역사회와 연계한 교육과정을 개발하며 관련 학과를 운영해왔다.

 

지난 8월 조선대와 협약을 체결한 인도네시아 58개 대학은 2023년 인도네시아 지속가능발전목표 센터 네트워크(ISCN) 연합체로 인도네시아 정부의 SDGs 달성에 앞장서고 있다  @조선대학교

 

특히 지난 8월 ISCN과 공동연구 및 국제 교류 협약 체결을 통하여 글로벌 협력을 통한 기후위기 대응 역량 증대에 집중하고 있으며, 이번 포럼 역시 SDGs 교육혁신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신안군의 섬문화다양성보전 활동의 일환인 '세계섬문화다양성' 포럼은 섬의 문화와 생태 다양성 보전, 주민 주도의 지속가능한 관광개발, 기후위기 대응책 마련 등을 주제로 한다 @신안군

 

또한, 이번 포럼을 처음 제안한 신안군은 섬 문화와 생태 다양성 보존을 위해 2020년에 ‘세계섬문화다양성네트워크 TF’를 결성하고, 다양한 섬문화 보존 활동을 진행해왔다. 신안군은 그간 '세계섬문화다양성포럼'을 통해 팔라우, 피지, 사모아, 그리스 등 여러 섬 국가와 교류하며 섬의 언어와 철학을 담은 ‘섬말사전(Island Wisdom)’ 제작과 세계 섬문화 다양성 홍보를 위한 온라인 플랫폼 구축에 힘써왔다.

 

유엔세계관광기구 세계최우수관광마을로 선정된 필리핀 보호(Bojo), 인도네시아 응랑그란, 신안군 퍼플섬, 팔라우, 피지, 사모아 등 섬의 언어와 철학을 담은 '섬말사전(Island Word)' @신안군

 

번 포럼에서 박우량 군수는 “청색 적응은 해양 생태계와 섬 문화를 보호하고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며, 지속가능한 해양 자원 활용을 촉진하는 중요한 전략”이라며 포럼 개최의 취지를 강조했다.

주최 측은 다음 후속 포럼을 인도네시아 제2도시 수라바야와 지속가능한 관광을 선도해 온 발리에서 내년 하반기에 개최할 예정이라고 밝혀 기대를 모으고 있다.

 

 

 

 

 

■ 여러분의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 전화 : 070-8080-3791 ▷ 이메일 : newsjebo@newskorea.ne.kr
▷ 페이스북 : '뉴스코리아' 검색, 그룹,페이지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뉴스코리아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