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4회 설성문화제 한 달 앞으로, 충북 음성종합운동장 일원에서 개막

- 음성의 고유한 전통과 문화 담아내는 축제, 다음 달 17일부터 이틀간 개최 - 황민호, 백봉기, 거북이 금비, 장민호 등 가수 공연과 체험 행사 풍성

2025-09-18     한기석 기자
제43회 설성문화제, 전통민속놀이 경연대회에서 대소면 주민들이 각골줄다리기를 재현하는 모습 @음성군

 

(뉴스코리아=음성) 한기석 기자 = 충청북도 음성군의 전통문화예술을 알리고 군민 화합을 위한 제44회 설성문화제가 다음 달 17일부터 이틀간 음성종합운동장 일원에서 막을 올린다.

축제추진위원회는 이번 설성문화제를 ‘어제의 숨결을 오늘에 담다’라는 주제로 음성의 전통과 소리, 맛과 이야기를 아우르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구성한다는 계획이다.

 

제43회 설성문화제 전통혼례(신부가 입장하는 모습) @음성군

 

‘음성의 전통’을 재현하기 위해 17일 전통혼례를 첫발로 거북놀이 보존회가 ‘음성거북놀이’ 공연을 선보인다. 

이와 함께 극동대학교 학생들이 ‘음성거북 하늘에 나래 펴다’라는 개막식 주제공연으로 설성문화제의 시작을 알린다.

​읍면별 전통민속놀이의 진수를 엿볼 수 있는 경연대회도 열린다.

‘내 고장을 알려라’라는 경연에서 음성읍 ‘벼베는 소리’, 원남면 ‘당골백중놀이’, 맹동면 ‘상여소리’ 등 8개 읍면의 대표 민속놀이가 경연을 펼친다. 

 

제43회 설성문화제, 전통 민속놀이 경연대회 ‘내 고장을 알려라’에서 금상을 수상한 금왕읍 주민들이 지경다짐이를 재현하는 모습 @음성군

 

특히 지난해 금상 수상팀인 금왕읍은 ‘지경다지기’ 축하공연으로 지역의 전통문화를 소개한다.

이와 함께 음성문화원 부스에서는 거북놀이, 지경다지기, 장치기 등 전통민속놀이와 천연염색, 가훈써주기, 동심일등(소원등 달기)을 체험할 수 있다.

 

제43회 설성문화제에서 거북놀이 보존회가 음성거북놀이를 재현하는 모습 @음성군

 

‘​음성의 소리’를 만끽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준비했다.

18일에는 ‘전국 염계달 중고제 판소리 경연대회와 한마당’이 한빛복지관과 주무대에서 열린다. 

판소리 경연대회는 초등부, 중고등부, 대학·일반부, 신인부 등 4개 부문으로 나눠 판소리의 다섯 바탕인 춘향가, 흥보가, 수궁가, 심청가, 적벽가 중 자유곡으로 경연을 펼친다.

특히, 이날 밤(19시)에는 주무대에서 판소리 명창들의 공연과 함께 경연대회 대상 수상자의 한마당 공연도 만나볼 수 있다.

​이번 축제에서 이목을 끄는 것 중 하나는 단연 초청 가수들의 축하공연이다. 

 

제43회 설성문화제  전통민속놀이 경연대회에서 소이면 주민이 거북놀이를 재현하는 모습 @음성군

 

개막식이 열리는 17일 밤에는 가수 황민호와 백봉기가 무대에 오르며, 축제 마지막 날인 18일 오전에는 거북이 금비, 저녁에는 장민호의 공연이 축제의 대미를 장식한다.

​‘음성의 맛’을 알리기 위한 먹거리도 준비했다.

‘고추장 떡볶이 나눔 행사’는 음성청결고춧가루로 만든 떡볶이를 나누는 행사로 향토음식연구회에서 주관한다. 

또 전통주막 콘셉트의 먹거리 장터와 다양한 메뉴를 판매하는 푸드트럭을 운영한다.

‘음성의 이야기’로 음성출향인의 고향 방문을 환영하는 행사인 ‘출향인 고향의 밤’을 군청사에서 개최한다. 

그 밖에도 음성문화원 동아리 공연, 청소년들이 우리의 전통과 현대문화를 재해석한 BBS 청소년 어울마당, 내국인과 외국인의 화합을 위한 설성 글로벌 페스티벌이 펼쳐진다.

​설성문화제와 연계한 행사도 마련했다. 

 

제44회 설성문화제 한 달 앞으로, 음성종합운동장 일원에서 개막 안내문(제44회 설성문화제) @음성군

 

관내 기업이 생산한 제품과 농산물을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는 ‘음성군 쎄일페스타’가 17일부터 19일까지 열리고, ‘2025 음성예술제’도 17일부터 23일까지 진행한다.

19일 음성종합운동장에서 ‘제42회 음성군민 체육대회’를 열어 군민 화합의 장을 이어간다.

​조병옥 음성군수는 “설성문화제를 통해 음성의 전통과 문화를 널리 알리겠다”며 “다양한 공연과 체험, 먹거리를 준비한 만큼 관광객들의 많은 관심과 방문을 기대한다 ”고 말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 전화 : 070-8080-3791 ▷ 이메일 : newsjebo@newskorea.ne.kr
▷ 페이스북 : '뉴스코리아' 검색, 그룹,페이지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뉴스코리아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