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천안 이랜드패션 물류센터 대형 화재…의원·지자체 총출동해 현장 상황 파악

- 1·2층 전소, 대응 2단계로 확대…정오 기준 인명피해 없어

2025-11-15     최신 기자
화재 현장 실시간 @뉴스코리아 최신 기자

 

(뉴스코리아=천안) 최신 기자 = 15일 오전 충남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 이랜드패션 물류센터에서 대형 화재가 발생해 소방당국이 대응 2단계를 발령하고 진화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불은 오전 6시 10분께 센터 내부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신고 5분 만에 대응 1단계가 발령됐고 화세가 빠르게 확산되면서 7시 1분 대응 2단계로 격상됐다.

 

화재 현장 실시간 @뉴스코리아 최신 기자

 

현재까지 파악된 인명피해는 없다.

충남소방본부는 장비 63대, 인력 129명을 투입해 진압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주요 출입구와 주변 도로에는 고가사다리차, 물탱크차, 지휘차 등이 대거 배치돼 있고, 건물 내부에서 발생하는 검은 연기는 여전히 치솟고 있다.

 

화재 현장 실시간 @뉴스코리아 최신 기자

 

■ 현장 찾은 국회의원·지자체 간부들…상황판 앞에서 긴급 보고 받아

화재 규모가 커지자 이정문 국회의원, 이재관 국회의원이 오전 중 연이어 현장을 찾아 소방 대응 상황을 점검했다.

두 의원은 현장 지휘본부가 설치된 야외 임시 상황판 앞에서 소방 관계자로부터 초기 발화 추정 지점, 연소 범위, 진입 난이도 등을 보고받았다.

 

화재 현장을 찾은 이정문, 이재관 국회의원과 김석필 천안시장 권한대행 부시장, 김행금 천안시의회 의장, 엄소영, 김명숙 시의원의 모습이 보인다. @뉴스코리아 최신 기자

 

천안시도 지휘 체계를 즉각 가동했다.

김석필 천안시장 권한대행(부시장)은 화재 발생 직후 현장에 도착해 소방 지휘관과 대응 방안, 지원 인력 배치 문제 등을 논의했다.

김 권한대행은 “가장 우선은 인명 안전 확보”라며 구조·탐색팀 운용 상황을 면밀히 점검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행금 의장, 김명숙 의원이 현장을 걱정스럽게 바라보고 있는 모습을 촬영했다. @뉴스코리아 최신 기자

 

천안시의회에서도 김행금 의장, 엄소영·김명숙 시의원이 현장 지휘본부를 직접 찾아 상황 파악에 나섰다.

이들은 잔불 진압과 확산 차단이 지연되는 원인을 상세히 확인하고, 소방과 천안시 재난안전실 관계자에게 필요한 행정 지원을 즉시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화재 현장 실시간 @뉴스코리아 최신 기자

 

현장에는 천안시·동남구청 공무원들도 다수 배치돼 교통 통제, 현장 주변 안전 구역 확보, 인근 주민 이동 안내 등을 진행했다.

소방대와 지자체가 협조해 차량 우회 동선을 만들고, 물류센터 주변 주요 지점에 안전선과 통제선을 추가로 설치했다.

 

화재 현장 실시간 @뉴스코리아 최신 기자

 

■ 내부 의류 적재물 많은 구조…1·2층 전소, 상층부 진화 난항

문제는 건물 구조다. 물류센터는 지하 1층·지상 4층 규모로, 내부에 의류·포장 상자 등 가연성 적재물이 대량 보관돼 연소 확대가 빠르게 이뤄졌다.

 

화재 현장 실시간 @뉴스코리아 최신 기자

 

소방 관계자는 “현재 1·2층은 전소 상태이며 3·4층에서 불길을 잡고 있다”며 “내부 연기량이 많고 고열로 인해 진입이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현장 상황판에도 ‘연기 많아 시야 확보 불가’, ‘고무·섬유류 연소로 온도 상승’, ‘내부 접근 제한’ 등의 경고 문구가 반복해 기록돼 있다.

 

화재 현장 실시간 @뉴스코리아 최신 기자

 

■ 천안시, 재난문자 발송…“주민 이동·차량 우회” 안내

천안시는 오전 7시 20분 재난문자를 통해 화재 사실을 알리며 인근 주민에게 이동을 권고하고, 운전자에게는 사고 지역 우회를 요청했다.

현재 풍세면 인근 도로는 소방 장비와 지휘 인력으로 혼잡이 이어지고 있다.

 

화재 현장 실시간 @뉴스코리아 최신 기자

 

소방본부는 외부 방수와 내부 진입을 병행하며 불길 확산을 저지하고 있으나, 완전 진압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화재 원인은 진압 후 합동 감식을 통해 규명될 예정이다.

 

 

 

 

 

■ 여러분의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 전화 : 070-8080-3791 ▷ 이메일 : newsjebo@newskorea.ne.kr
▷ 페이스북 : '뉴스코리아' 검색, 그룹,페이지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뉴스코리아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