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충남 아산시 2025년 지방세 ‘사상 최대’ 전망…도시 성장 속도 입증
- 산업 성장·인구 증가·행정 효율화, 세수 확대의 ‘선순환 구조’ 본격화 - 대기업 영업이익 개선에 지방소득세 급증…재산세·주민세도 꾸준히 증가
(뉴스코리아=아산) 문소연 기자 = 충청남도 아산시(시장 오세현)의 2025년 지방세 징수액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첨단 제조업 중심의 산업 성장과 인구 증가, 행정 혁신이 맞물리며 세입 기반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아산시는 제2회 추가경정 예산안에서 2025년 시세 예산액을 5,575억 원으로 확정했다.
도세를 포함한 전체 지방세 규모는 총 8,522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결산액 5,143억 원을 크게 뛰어넘는 수치로, 아산시 재정 역사상 최대 규모다.
최근 3년간 670억 원 증가…도시 성장세 ‘뚜렷’
아산시 세입은 최근 3년간 꾸준히 증가세를 이어왔다. 시세 규모는
-
2022년 4,905억 원,
-
2023년 5,234억 원,
-
2024년 5,143억 원에 이어,
올해 5,575억 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3년 만에 약 670억 원이 증가한 것으로, 산업 성장과 도시 팽창이 직접적인 재정 확대로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9월 말 기준 시세 5,003억 원…지방소득세가 ‘효자’
올해 9월 말 기준 시세 징수액은 5,003억 원으로, 전년 대비 566억 원 증가했다.
세목별로는
-
지방소득세 2,920억 원,
-
재산세 700억 원,
-
자동차세 454억 원,
-
주민세 320억 원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방소득세는 전년 대비 554억 원 증가하며 세수 확대의 핵심 역할을 했다.
이는 대기업 법인의 영업이익 개선과 세원 관리 강화, 적극적인 세입 확보 전략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아산시는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현대자동차 등 국가적 첨단 제조업 거점이 밀집한 도시로, 지방소득세 비중(50.9%)이 전국 평균(34.5%)보다 크게 높은 구조를 보인다.
공동주택 준공·도시개발 확대로 재산세 꾸준히 증가
아산시는 배방·탕정2지구 등에서 대규모 도시개발 및 공동주택 준공이 이어지며 재산세 규모도 지속 확대되고 있다.
2023년에는 1만 세대의 공동주택이 준공됐으며, 올해 재산세는 9월 기준 700억 원을 기록했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납기가 연장된 만큼 최종 770억 원 수준까지 증가할 전망이다.
인구 순유입에 따른 자동차세·주민세·담배소비세 등도 안정적인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세원 정비·기획 세무조사·전산 검증…행정 혁신도 성과
아산시는 공정한 세정 기반 구축을 위한 행정 혁신도 강화하고 있다.
전 직원이 참여하는 세원 정비, 자진신고 안내, 납부 편의성 확대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 중이다.
올해는 ‘지방세 감면 중점조사 TF’ 운영과 기획 세무조사를 통해 9월 말 기준 54억 원을 추가 추징했다.
또 지난해 차세대 전산시스템 오류로 인해 타 지자체에 누락됐던 특별징수 세액 190억 원을 철저한 검증을 통해 정산해 실제 세입 확충에 크게 기여했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아산시는 충남도의 ‘2024회계 지방세정 종합평가’에서 우수기관으로 선정되며 4년 연속 수상을 이어갔다.
“세수 증가는 도시 성장의 자연스러운 결과”
아산시는 이번 세입 증대가 단순한 재정 확대를 넘어, 도시 성장 잠재력이 본격적으로 확장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보고 있다.
확충된 세입은 지역경제 활성화, 민생안정, 사회안전망 강화 등 시민 체감도가 높은 분야에 집중 투자될 예정이다.
안정선 세정과장은
“세수 증가는 시민 부담으로만 해석할 것이 아니라, 도시 성장과 행정 효율성 향상에 따른 자연스러운 결과”라며
“앞으로도 공평과세를 바탕으로 시민이 신뢰하는 세무 행정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여러분의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 전화 : 070-8080-3791 ▷ 이메일 : newsjebo@newskorea.ne.kr
▷ 페이스북 : '뉴스코리아' 검색, 그룹,페이지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뉴스코리아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