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3.9 대선, 중앙선관위는 여론조사기관 조작에 눈을 감지마라.
수상한 여론조사들, 중앙선관위 책임이 가장 크다.
(뉴스코리아=서울) 김은영 논설위원 = 경향신문이 창간 75주년을 맞아 케이스탯 리서치와 진행한 여론조사 결과, 이재명 예비후보가 ‘차기 대통령감으로 누가 적합한가’ 질문에 31.1%로, 전체 1위를 차지했다고 보도를 했다.
언론이 여론조사기관과 짝짓기를 하듯 여론조사를 하는 지금의 현실이 매우 타당성이 있는가? 여론을 몰아주는 부정 행위에 관해서 선거관리위원회가 여론조사기관을 사실상 눈감아 주고 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는 대목이다.
지나치게 빈번한 여론조사로 실제 여론이 왜곡되고, 갖가지 조작의 가능성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중앙선관위의 역할이 아쉽다는 평가가 나온다 .
또한 아무나 설립할 수 있는 여론조사기관도 더욱 문제다. 여론조사기관이 문재인 정권이 들어서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무려 79개가 등록되었다.
중앙선관위 홈페이지에서 여론조사기관 등록현황을 살펴보면, 최근 1-2년간 우후죽순 처럼 여론조사 기관이 생겨난 것을 알수 있다.
선거 관련 여론조사를 하기위해서는 중앙선관위에 등록을 해야하는데 그 기준은 그야말로 엉성하다.
전화면접조사시스템을 갖추고, 분석전문인력 1명 포함한 직원 3명에 사무실만 있으면 된다. 설립된 지 1년 미만인 회사도 3번 이상의 여론조사 실적과 매출액 5천만원 이상이 되면, 선관위에 등록하여 선거여론조사를 할 수 있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 리서치·코리아 리서치·한국 리서치 등 별로 인지도가 없는 회사들은 최근 빈번하게 공동여론조사를 하는데 그 의도도 순수하게 보이지 않는다. 네군데가 공동으로 여론조사를 했다고 하여 신뢰도를 높이겠다는 전략으로 보이지만, 전문가들은 고개를 절래절래 흔든다.
공동으로 여론조사를 하는 것은 조사의 신뢰도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는 것이다. 여론조사는 주로 언론사가 여론조사회사에 의뢰하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질문을 사전에 선관위에 허락을 받고 진행하지만, 표본이 어떻게 구성되었는지, 공정하게 진행되는지는 아무도 모른다. 무작위로 전화를 돌렸다고 하지만, 갖가지 속임수가 난무할 가능성이 있다는 전문가의 전언이다.
특히 특정 정치성향 언론사들은 자기들 구미에 맞는 여론조사기관을 택해서 조사를 의뢰한다. 선거관리위원회가 여론조사기관이 부정행위를 하는 것을 사실상 눈감아 주고 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는 대목이기도 하다.
지나치게 빈번한 여론조사로 실제 여론이 왜곡되고, 갖가지 조작의 가능성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문재인 정부 산하기관인 중앙선관위의 역할도 신뢰를 상실했다는 것이다.
한편 지난 7월 경기도 산하기관 선거개입 의혹 선관위 조사 촉구언론 보도에 따르면 경기도 공직유관단체의 임원 진모씨가 민주당 대선후보 예비경선 과정에서 이 지사에게 집중 공격을 쏟아낸 이낙연 전 대표 측에 반격하기 위해 이 지사의 지지자들이 모인 텔레그램 대화방을 만든 것으로 나타났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경기도 공직유관단체의 임원 진모씨는 민주당 대선후보 예비경선 과정에서 이재명 지사에게 집중 공격을 쏟아낸 이낙연 전 대표 측에 반격하기 위해 이 지사의 지지자들이 모인 텔레그램 대화방을 만든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또한 정권교체를 열망하는 윤사모(윤석열을 사랑하는 모임/회장 최성덕) 회원들이 지난달 9월 3일 오전 10시 30분 대구광역시 청사 현관 앞에서 성명서 기자회견을 열어 성명서를 발표한 바 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이재명 후보를 공식 지지한 최혁진 전 청와대 사회적경제 비서관과 전국 사회적경제인 1051명의 지지자들에 대해 협동조합기본법 및 개별법에 의한 협동조합의 공직선거 관여금지 조항과 공직선거법 위반 여부에 대해 즉각 수사하라"고 강력하게 촉구했다.
1,000명을 조작해 만든 여론조사가 어떻게 5천 만의 국민을 대신하는 한 나라의 대통령을 만들 수 있겠는가. 국민의 눈과 귀를 차단 시키려는 여론조작, 이제 중앙선관위가 답해야 한다.
■ 여러분의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 전화 : 070-8080-3791 ▷ 이메일 : newsjebo@newskorea.ne.kr
▷ 페이스북 : '뉴스코리아' 검색, 그룹,페이지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뉴스코리아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