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군부가 기세등등한 이유
(부산=뉴스코리아) 김인아 논설위원 = 지난 15일 현지 매체 이라와디는 만달레이의 한 사관학교에서 수백명의 생도들이 춤을 추며 물축제를 즐기는 영상을 보도했습니다. 무고한 시민 700여명이 사살된 상황에서도 이들은 축제를 기념하고 있습니다. 상식적으로도 이해하기 힘든 상황인데요. 이들은 누구인지, 살펴보시죠.
2011년 미얀마 군사정부는 60여년의 군부 독재를 종식하고, 민간으로 정권을 이양했습니다. 이후 2015년 총선을 통해 민주화운동의 핵심인물인 아웅산 수찌 여사가 이끄는 민족민주연합(이하 NLD)가 승리하면서, 세계 최초로 선거를 통해 군사정부에서 민간정부로 이양되는 첫 사례가 되기도 했습니다. 이렇게 아웅산 수찌 국가고문을 전면에 내세운 미얀마의 민주주의는 드디어 그 꽃을 피울 것만 같았죠.
그러나 문민정부를 이끌었던 아웅산수찌 국가고문은 군부의 감시를 받아왔습니다. 커튼 뒤 실제 권력은 군부의 손에 놓여 있었던 것이죠. 실질적으로로 군부가 권력을 쥐고 있었기 때문에 미얀마의 정치 지형에는 근본적인 변화가 없었던 샘입니다.
군부가 장기 집권을 이어가고, 민간정부 출범 이후에도 막강한 권력을 계속적으로 행사할수 있었던 것은 미얀마 현대사에서 군부가 차지하는 위상 때문입니다. 미얀마에서 군부는 식민지배의 종식과 독립, 건국은 물론, 이후 국정을 주도한 정치 세력으로 주도적인 역할을 행사해왔습니다. 중국과 러시아에서는 공산당이 집권한 뒤 당 중심으로 권력을 운용했죠. 미얀마에서는 독립과 건국 주도 세력이 군부로 남아서 권력을 승계해왔습니다. 군부라는 외피를 쓰고 있었던 것이죠.
군부는 반세기 넘게 버마족의 수호자를 자처하며 소수민족을 탄압하고 사살했습니다. 이미 과거 민주화 시위에서 수천명을 학살했던 군부는 지난 2월 쿠데타 이후 700명이 넘는 시민들을 사살하고도 너무나 태연하죠. 미얀마 군부 대변인인 조 민 툰 준장은 국영방송을 통해 어린이 등 민간인 학살 책임을 전면 부인하며, 이번 사태는 쿠데타가 아니라고 규정했습니다. 군부는 부정 선거에 대한 조사가 진행되는 동안 미얀마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있는 것이라고 밝히며 정당화 하고있죠.
이러한 군부의 자신감은 수십년간 축적한 부와 세뇌, 그리고 중국의 지원이 있었기에 가능했습니다. 최근엔 러시아 정부도 군부에 손을 내밀고 있는데요. 러시아정부는 지난 3월 군부 열병식에 유일하게 차관급 인사를 보내 우호를 과시했고, 중국과 나란히 군부의 학살을 미얀마 내정 문제로 간주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막강한 돈줄을 쥐고 있는 군부는 약 50만명의 군인들에게 특혜를 주는 동시에, 군인들을 외부와 격리하여 세뇌, 철저한 살인병기로 만들었습니다. 군인들은 엄청난 내부 결속을 통해 군 수뇌부에 대한 상상을 초월하는 충성도를 내비치고 있죠.
이처럼 조직에 세뇌된 군인들은 과거 민주화 운동에서도 거리낌 없이 학살을 저질렀습니다. 1988년 '민주화 항쟁' 당시 사망한 시민들은 약 5,000명에 달하며, 2007년 '샤프란 항쟁' 당시에도 약 140명이 사망했습니다. 군부는 이후 민정 이양을 하는 흉내만 내고 명칭만 바꾼 각종 조직들을 정부에 남겨 자신들의 통제를 포기하지 않았습다. 2008년 헌법에 의하면 미얀마군 통수권자는 대통령이 아니라 군부 총사령관이며, 모든 단위별 의회에 25%는 군부가 반드시 들어가게 되어있죠.
군부 쿠데타로 촉발된 이번 미얀마 소요 사태가 이제는 사실상 내전 국면으로 치닫고 있습니다. 적군 살상 무기인 유탄발사기와 박격포까지 동원한 군경에 맞서,서 시위대는 소수민족 무장단체와의 연방군 창설을 현재 서두르고 있습니다.
UN등 국제사회는 이번 미얀마 사태에 말만하는 비난에 그치지 않고, 현 상황에 적극적으로 개입해 더이상의 희생이 발생하지 않도록 인도주의적 책임을 다해야 할 것입니다. 희생된 미얀마 시민들의 명복을 빕니다.
본 기사는 독자들이 후원 해주시는 소중한 후원금으로 제작 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익하셨다면 기자에게 원고료를 후원해주세요
아래 후원하기를 누르신후 추천인란에 담당 기자의 이름을 적어주시면 기자에게 원고료가 지급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