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 휴가를 즐기기 전 미리 알아두어야 하는 것

물놀이 사고 예방법과 대처법

2022-06-29     최은재 대학생 기자
사진 출처 = Pexels

 

(인천=뉴스코리아) 최은재 기자 = 장마가 시작되고 본격적인 여름이 다가오고 있다. 많은 여행객들은 후덥지근한 여름을 이겨내기 위해 시원한 곳으로 물놀이를 간다. 특히 코로나가 사그러든 올해에는 더 많은 사람들이 여행을 갈 것으로 예상된다.

계곡과 바다에 놀러가는 사람이 많은만큼 물에 빠지는 익사 사고는 매년 발생한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2016년~2020년 물놀이 사망자는 8월 초순에 가장 많았고, 장소별 물놀이 사망자는 주로 하천과 강에서 발생하였다.

그렇다면 하천과 강에서는 왜 많은 사망자가 발생할까? 보통 하천이나 강은 얕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하천이나 강은 수면위를 겉으로 봤을 때는 얕아보이지만,  수면 아래는 지형이 울퉁불퉁해서 물 깊이 또한 낮았다가 갑자기 수심이 깊어지는 곳이 많다.
 
물의 깊이가 무릎정도인 곳에서 걸어다니다가도 갑자기 발이 훅 꺼지는 경우가 있는데, 바로 물 밑의 지형이 불규칙하여 일어나는 것이다. 게다가 강이나 하천에는 안전요원이 없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사고가 나도 빠르게 대처할 수 없어 더 큰 사고로 이어지기도 한다. 이 밖에도 장마나 태풍으로 인해 물이 평소보다 불어나 고립되기도 하고, 바다에서 물놀이를 하다가 갑자기 빠르게 온 파도에 휩쓸려 조난을 당하는 경우도 빈번하다. 
 
그렇다면 물놀이를 하다가 사고가 났을 때는 어떻게 해야할까? 본격적인 여름 휴가가 시작되기 전에 물놀이 안전법과 사고가 났을 때 대처하는 방법들을 알아봤다. 
 
 
 

<물놀이 사고 예방> 


1.    준비운동
준비운동은 필수다. 조금이라도 몸을 움직여 굳어있던 몸을 풀고 열을 내는 것이 중요하다. 갑자기 물에 들어가면 심장마비가 올 수 있으므로 준비운동으로 몸을 데우고, 심장에서 먼 곳부터 물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해야한다. 


2.    구명조끼 착용
아무리 낮은 수심이더라도 구명조끼는 착용하는 것이 좋다. 하천이나 강에서 구명조끼를 입지 않고 물놀이를 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는 위험한 행동이다. 갑자기 수심이 깊어져 발을 헛디딜 수 있기 때문에 구명조끼를 착용 하는 것이 좋다.


3.    일행을 동반한다.
혼자서 물놀이를 하지 않도록 한다. 잠깐이니 괜찮겠지 하는 생각은 굉장히 위험하다. 꼭 일행을 동반하고, 물놀이를 나서기 전 일행에게 이를 알려야한다. 물에 빠졌을 때 보다 빠른 구조를 위한 사항이다.

 

 

<사고 대처 방법>


1.    사고가 난 사람을 봤을 때
사고가 난 사람을 보고 구하겠다며 물에 무작정 뛰어들면 안된다. 구명조끼, 튜브, 밧줄과 같은 물건으로 물에 빠진 사람를 빼내는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구호 하기 위해 물에 들어갔다가는 함께 물에 휩쓸리거나 고립되는 등 2차 사고로 이어 질 수 있다.


2.    수영 중 경련이 일어났을 때
수영 중 경련은 흔하게 일어난다. 몸에 경련이 일어났을 경우에는 당황하지 않고 몸에 힘을 뺀다. 당황해서 허둥대다가 중심을 잃고 물에 빠질 수 있기 때문에 최대한 편한 자세로 힘을 빼는 것이 중요하다.


3.    해초에 걸렸을 때
수영 중 해초에 몸이 걸릴 수 있다. 이 경우에 발버둥 치거나 앞으로 나아가려고 하면 더 강하게 해초에 몸이 묶일 수 있다. 따라서 부드럽게 팔과 다리를 움직여 해초가 자연스럽게 벗겨질 수 있게 한다. 만약 해초가 풀리지 않는다면 최대한 몸을 풀고 물의 흐름에 맡겨 해초가 헐거워질 때 빠져나와야 한다.

더 많은 물놀이 사고 예방법과 대처법은 중앙응급의료센터(https://www.e-gen.or.kr/egen/water_negligent_accident.do?contentsno=58)와 국민재난안전포털(https://www.safekorea.go.kr/idsiSFK/neo/sfk/cs/contents/prevent/SDIJK13928.html?cd1=28&cd2=999&pagecd=SDIJK139.28&menuSeq=128)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여름 휴가를 떠나기 전 미리 알아두고 숙지하여 나와 내 가족의 안전을 지킬 수 있도록 준비 해야 한다.

 

본 기사는 독자들이 후원 해주시는 소중한 후원금으로 제작 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익하셨다면 기자에게 원고료를 후원해주세요
아래 후원하기를 누르신후 추천인란에 담당 기자의 이름을 적어주시면 기자에게 원고료가 지급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