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 "네오 퓨처리즘" 창시자 "마르코 로돌라", DDP 전시
- 비틀즈, 파바로티와 같은 대중문화 아이콘.. 밝은 미래를 상징하는 빛과 형상으로 표현한 40여점 팝아트 선보여 - 이탈리아 대사관, 문화원이 함께하고 이탈리아의 예술가 그룹 미라빌리가 후원
(서울=뉴스코리아) 허승규 기자 = 명료한 기능주의와 간결한 미학추구라는 '네오 모더니즘'과 괘를 함께 하는 '네오 퓨처리즘(새로운 미래주의)'은 20세기 후반부터 21세기 초반까지 예술, 디자인, 건축 분야에서 새로운 것을 추구하고자 일어난 운동으로 성장하는 도시를 중심으로 디자인의 미학과 기능성에 대해 미래지향적으로 사고하는 것이 특징이다.
작년 가을과 겨울 패션 코드는 ‘네오 퓨처리즘’으로, 불안정한 현실 속에서 밝은 미래에 대한 희망을 표현하기 위하여 네온 컬러, 기하학적 삼각 패턴, 메탈 소재, 스팽글 등의 미래를 상징하는 소재들이 주요한 패션 아이템으로 등장했다.
21세기 건축 분야의 '네오 퓨처리즘'은 건축가 자하 하디드의 영감을 받았다. 다른 예술 분야도 그 흐름을 반영하고 있다.
이탈리아 네오 퓨처리즘의 창시자 마르코 로돌라의 작품전이 9월 5일(월)부터 10월 9일(일)까지 동대문디자인플라자(이하 DDP)에서 열린다. 마르코 로돌라는 이탈리아 현대 미술을 대표하는 예술가이자, 누오보 누오보(Nuovo Nuovo, 새로운 새로움)를 추구하는 지적인 사고와 논리적 고찰보다는 '감성과 즉흥적인 행동, 직감을 선호'하는 성향의 예술가이다. 이런 작가 성향은 스포츠, 패션, 브랜드 등 현대인의 일상과 예술을 밀접하게 연결짓는데 영향을 주었다. 로마, 밀라노, 피렌체, 파리 등 유럽 주요 도시에 작품을 전시해왔으며 스와치, 페라리, 디오르 등 세계적인 기업과 컬래버레이션을 진행한 바 있다. 특히 자하 하디드가 설계한 DDP에서 열리는 네오 퓨처리즘 전시는 다른 어떤 전시보다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이번 전시는 ‘돌체 비타(달콤한 인생)’로 대표되는 이탈리안 라이프 스타일과 대중문화의 아이콘을 재해석한 마르코 로돌라의 작품 약 40여 점이 DDP 야외공간인 미래로와 갤러리문에 설치된다.
전시는 총 4개의 섹션인 ▲ 춤과 음악 ▲ 르네상스 미술의 팝아트적 재해석 ▲ 핀업 걸과 카드 섹션 ▲ 베스파와 이탈리안 라이프 스타일로 구성된다.
작가의 작품은 알루미늄과 LED 튜브, 아크릴 수지로 알려진 플랙시 글래스로 제작된 조각상과 아크릴에 네온과 반짝이는 조각들을 붙여 만든 판화들이다. 작품 속 빛은 밝은 미래를 향한 기원을 뜻하며, 조명과 전선, 플라스틱을 이용해 특유의 팝아트적 스타일의 작품을 완성했다.
한편, 작가의 시각으로 본 서울은 역사적 뿌리를 간직하면서 끊임없이 변화하는 역동적인 도시로 오래되고 익숙한 세계를 새롭게 해석하는 작가의 예술관과 통한다. 네온, LED 튜브 등을 주로 사용해 빛의 예술가로도 불리는 작가는 “나의 작품에 드러난 ‘빛’은 변화와 발전을 추구하며 미래지향적인 서울의 밤을 밝히는 네온사인을 연상시킨다. 이번 전시로 한국인에게 이탈리아 현대 예술을 소개할 수 있어 기쁘다.” 고 소감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