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 참전 91세 국군간호사관학교 2기 박옥선 간호장교 지병으로 별세
“(간호장교로) 참전한 것을 후회는 안 합니다. 지금이라도 부르면 당장이라도 가서 일할 것 같아요.” 생전 고인 인터뷰中
(뉴스코리아=서울) 최신 기자 = 18살에 6·25전쟁을 맞아 학업을 중단하고 간호장교로 참전한 박옥선 대한민국 6·25 참전 유공자회 종로구지회장이 지난 15일 오전 6시 50분께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지병인 신우염으로 투병 끝에 세상을 떠났다고 참전 유공자회 종로구 지회측이 알렸다.
故박옥선 지회장 향년 91세.
1932년 9월 서울 필동에서 태어난 고인은 경기공립여중(6년제) 5학년이던 18살에 1950년 6·25를 경험했다.
부산으로 피난 갔다가 9·28 수복 때 서울로 돌아와서는 서울 서부훈육소(임시 학교)에서 공부할 때 간호사관학교 2기생을 모집한다는 소리를 듣고 주저 없이 손을 들었다.
그렇게 고인은 1951년 19살에 간호사관학교 2기생으로 들어갔다.
“피난 갈 때 논두렁에 쓰러져 죽은 피난민을 본 뒤 ‘내가 조금이라도 도울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라고 생각했죠”
외동딸의 참전을 막으려고 한 아버지(박술음, 1902∼1983, 前 사회부 장관)에게는 “1년 후에 돌아오겠다”고 거짓말을 하고 전쟁터로 떠났다.
딸의 뒷모습을 차마 볼수 없어 뒤돌아서서 소리없이 울던 아버지께서 세상을 떠날 때 임종을 지키지 못한 것이 자식으로서 평생의 한으로 남았다.
그뿐이던가 훈련 도중 가까운 곳에서 수류탄이 터진 탓에 왼쪽 귀는 영영 듣지 못하게 됐다.
그후 고인은 제주, 대구, 부산, 철원, 양구 등지에서 근무했다.
“상처에 바를 빨간약(포비돈 요오드)도 없어서 감염을 막으려고 다친 부위보다 더 많은 부위를 절단”하는 고통의 나날들이었다.
간호장교는 전쟁터에서 쉴 새 없이 밀어닥치는 환자 중 살릴 사람과 포기할 이를 신속하게 구분해야 했다.
대구1육군병원에서 근무하던 시기 총상 때문에 안면이 함몰된 당시 박종은 중위를 남들은 포기하자고 하는데도 고인은 며칠 동안 밤을 새워가며 치료해서 살려낸 일이 간호장교로서 큰 보람으로 남았다고 회상했다.
2014년 방송에 출연한 고인을 우연히 보고 박종은씨가 국방부에 문의한 덕분에 서울역 3층 제과점에서 반세기만에 두사람은 반갑게 재회하기도 했다.
그렇게 휴전 후 국립원호병원(현 중앙보훈병원)에서 간호과장으로 베트남전쟁 부상병을 돌봤고, 그 후로는 삼척탄광 의무대에서도 근무 했었다.
시간이 흘러 퇴직 후에는 2009년부터 지난 8월까지 대한민국 6·25 참전 유공자회 종로구지회장을 맡아 10여년간을 봉사했다.
여성이 지회장을 맡은 건 고인이 처음이었다.
뿐만 아니었다. 고인은 간간히 방송에 출연해서 받은 출연료를 아끼고 아껴서 기초생활수급자로 근근이 살아가는 참전유공자들을 묵묵히 곁에서 도왔다.
그런 고인은 안타깝게도 지난 2020년 파킨슨병 진단을 받았다.
6·25 전쟁에 참전했던 여성은 약 2천 400여명에 이르는데 그 중 664명이 간호장교였다.
“(간호장교로 참전한 것을) 후회는 안 합니다. 지금이라도 조국이 부르면 당장이라도 뛰어 가서 일할 것 같아요”
생전 고인의 구술 인터뷰 내용中
고인은 전쟁기념관 구술 인터뷰에서 “(간호장교로 참전한 것을) 후회는 안 합니다. 지금이라도 조국이 부르면 당장이라도 뛰어 가서 일할 것 같아요”라고 말했던 고인은 희생과 봉사에 매진한 채, 평생을 독신으로 살았다.
국군간호사관학교 명예동문회장이자 전 경기도 의원을 지낸 민병숙 예비역 대령은 "6ㆍ25 참전 91세 박옥선 국군간호사관학교 선배님께서 세상을 떠나셨습니다. 문상하며 눈시울이 뜨거워졌습니다. 경기공립여중 5학년, 18세 때 사회부 장관을 지내신 아버님의 만류를 뿌리치고 입대해서 수많은 전상자를 간호했고, 전역 후에도 독신으로 살면서 평생 나라를 위해 활동하시다 돌아가신 자랑스럽고 존경하는 애국 선배님이십니다. 눈물이 납니다. 저희 후배 전역 간호장교들도 선배님의 생전 유지를 받들어 조국이 위기를 맞으면 기꺼이 전선으로 달려가겠노라고 굳게 다짐합니다. 선배님, 존경합니다. 안녕히 가세요"라고 마지막 인사를 고인에게 전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 전화 : 070-8080-3791 ▷ 이메일 : newsjebo@newskorea.ne.kr
▷ 페이스북 : '뉴스코리아' 검색, 그룹,페이지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뉴스코리아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