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코리아=서울) 허승규 기자 = 10월 22일 아시아·중동 국가의 문화가 어우러지는 '살람서울 페스티벌'이 광화문광장에서 성대하게 개최되고 있다.
이번 축제는 서울시와 (재)한국-아랍 소사이어티가 공동 주최하며, 아시아와 중동의 문화를 서울 시민에게 소개하는 동시에, 한국을 찾는 중동 관광객들에게 환대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한국 문화를 체험할 기회를 제공한다.
'살람서울 페스티벌'은 아시아·중동 지역의 무슬림 관광객 시장을 확대하고자 기획된 행사로, 종교와 문화를 넘어 모두가 즐길 수 있는 축제로 마련됐다.
축제의 하이라이트는 아·중동 문화를 직접 경험할 수 있는 패션쇼와 콘서트 등 다양한 메인 프로그램이다.
이 외에도 할랄과 비건 인증을 받은 여러 민간 기업들이 참여해 다양한 먹거리를 선보일 예정으로, 할랄 식품과 비건 음식 등 다양한 글로벌 미식 문화도 경험할 수 있다.
행사장은 11개국의 홍보존, 체험존, 뷰티존, 패션존 등 다양한 공간 구성으로 시민들이 아시아와 중동 문화를 더 가까이 접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고 있다
○ (체험존) 전통 악기부터 나에게 맞는 히잡 색깔 찾기, 아랍 전통의상, 윷놀이 등을 직접 체험할 수 있다.
○ (뷰티존) 엘솔레, 플루케, ㈜웰코스, 올차다, 부건코스메틱(주), 미소영, 오더마 주식회사, ㈜파켓 등 총 8개 업체에서 참가하는 뷰티존에서는 할랄·비건 인증을 받은 화장품을 만나볼 수 있다.
○ (패션존) ‘살람 페스티벌’을 위해 특별히 제작된 의상을 전시한다.
○ (홍보존) 중동국가 홍보존에서는 총 11개 국가(모로코, 사우디아라비아, 수단, 아랍에미리트, 알제리, 오만, 요르단, 이라크, 카타르, 쿠웨이트, 튀니지)가 참여하여 각국의 문화를 소개한다.
○ (포토존) 잔디마당에는 서울의 상징 캐릭터인 ‘해치’ 애드벌룬과 함께 갖가지 식물로 장식한 플랜테리어(Planterior) 포토존이 마련된다.
○ (푸드존) 케르반그룹, 남미플랜트랩, 풍심당과 푸드트럭 등이 참여하는 푸드존에서는 중동 디저트와 비건푸드 뿐만 아니라 남녀노소 누구나 맛있게 즐길 수 있는 떡볶이, 어묵, 김치전 등 다양한 미식 체험이 세종로 공원에 마련된다.
개막식 이후에는 우리나라 전통의상 브랜드와 인도네시아 브랜드가 협업한 패션쇼가 열려 각국의 의상이 어우러진 아름다운 볼거리가 펼쳐진다.
먼저 한국적인 디자인에서 영감을 받은 의류를 선보이는 ‘아혼(김호 디자이너)’ 브랜드 의상으로 패션쇼를 시작하며 이슬람 문화를 담은 모디스트 패션을 선보이는 인도네시아 브랜드 ‘DS.Modest’ 의상과 인도네시아 전통 패턴인 바틱을 활용하는 ‘Margaria’ 브랜드 의상이 선보여진다.
마지막으로 국내 브랜드 ‘리슬(황이슬 디자이너)’, ‘모디스튜디오(최윤선 대표)’와 인도네시아 브랜드 ‘DS.Modest’, ‘Margaria’ 협업으로 한국 전통 디자인과 히잡이 접목된 특별한 컬렉션을 관람할 수 있다.
패션쇼에서는 아시아·중동의 전통 의상을 선보이며, 콘서트에서는 전통음악과 함께 K-POP 등 다양한 장르의 공연이 펼쳐진다.
패션쇼가 끝난 직후 19시 45분부터는 튀지니 ‘국립민속예술단’의 전통 공연부터 ‘하림밴드’, ‘MCND’의 K-POP 공연까지 열려 모두가 함께 즐길 수 있는 문화교류 콘서트로 행사의 막을 내린다.
○ (튀니지 국립민속예술단) 튀니지 산악 지역의 유목민들의 생생한 여정을 담은 베르베르인 전통춤과 함께 사막 모래의 애수를 담은 베두인 멜로디 공연이 펼쳐진다.
○ (하림밴드) 아시아‧중동 악기를 사용하는 밴드의 음악과 아랍어로 노래하는 감미로운 하림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공연이다.
○ (MCND) 아시아·중동에서 선호하는 K-POP 5인조 아이돌 MCND(엠씨엔디) 공연을 만나볼 수 있다.
비가 오는 축제 현장을 찾은 서울특별시관광협회 박정록 회장권한대행은 “전 세계 27억 무슬림이 한국과 한류에 대한 관심이 점점 고조되고 있다.
이번 살람서울 페스티벌은 한국과 아시아·중동 간의 문화 교류를 촉진하고, 중동 관광객들에게 환영과 환대의 의미를 전달하는 중요한 축제가 될 것이다. 서울 시민들도 다양한 문화를 접하며 문화 다양성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높일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 전화 : 070-8080-3791 ▷ 이메일 : newsjebo@newskorea.ne.kr
▷ 페이스북 : '뉴스코리아' 검색, 그룹,페이지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뉴스코리아를 구독해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