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코리아=천안) 최신 기자 = 충남 천안시의회 국민의힘 소속 장혁 의원의 정치적 행보가 점점 더 이해불가한 방향으로 치닫고 있다.
당론과 다른 목소리, 같은 당 소속 의장과의 공개 갈등, 반대 정당과 유사한 의정 스탠스 등은 단순한 ‘소신’의 수준을 넘어서 정치적 이탈행위로 비춰지고 있다.
문제는 이 모든 갈등이 시민을 위한 실질적 성과로 연결되기보다는, 개인의 정치적 셈법 속에서 표류하고 있다는 점이다.
당적만 국민의힘? "반대당 의원 같다"
장혁 의원은 국민의힘 소속이지만 실제로는 민주당 의원에 가까운 정치 언행을 보여 왔다.
실제 지난 정례회와 임시회에서 그는 국민의힘 다수 의견에 반해 민주당 의원들과 유사한 의견을 지속적으로 내며 예산안 및 조례안 표결 과정에서도 당론을 무시한 이탈 표결을 자주 감행했다.
정치권 관계자는 “국민의힘 내부에서조차 장혁 의원의 입장을 이해하는 의원은 드물다”며 “사실상 소속 정당보다 자신의 존재감과 개별 메시지에 더 관심이 많아 보인다”고 말했다.
김행금 의장 "당내 질서 해치는 정치적 계산" 직격
장 의원의 이탈 행보는 국민의힘 소속 김행금 천안시의회 의장과의 격렬한 갈등으로 이어지고 있다.
김 의장은 최근 기자간담회를 통해 장 의원의 지속적인 공개 비판과 언론 플레이에 대해 다음과 같이 입장을 밝혔다.
“당내 공식 회의나 내부 협의 과정에서 충분히 논의될 수 있는 사안을, 일방적으로 외부에 유출하고 본인 정치적 이득을 위해 활용하는 건 당의 질서를 해치는 위험한 정치적 계산이다. 기초의회가 개인 정치의 도구가 되어선 안 된다.”
김 의장은 이어 “당내 균열을 조장하고 외부에서는 보수 진영 전체의 분열로 비춰지게 만드는 행위는 정치 윤리적으로도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시민들의 반응: “누구를 위한 정치인가” 피로감 확산
천안시 시민들 사이에서도 장 의원의 반복된 갈등과 이탈 언행에 대한 냉소와 피로감이 커지고 있다.
실제 천안시민 A씨(47, 두정동)는 “정당 소속이라면 어느 정도 당내 합의를 따라야지, 매번 혼자 튀는 발언만 하고 시끄럽게 만드는 건 시민을 위한 정치라고 보기 어렵다”고 말했다.
또 다른 시민 B씨(33, 쌍용동)는 “시민이 바라는 건 싸움이 아니라 실질적인 지역 현안 해결”이라며 “정쟁에 가까운 언행은 솔직히 실망스럽다”고 말했다.
지역 시민단체 관계자도 “최근 장 의원의 활동은 지역 발전이나 정책 개선보다는 본인 중심의 정치적 노이즈가 커진 것으로 보인다”며 “기초의원이 중앙정치 스타일의 분열 행보를 가져오는 건 매우 위험한 전례가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기초의회가 '개인 브랜드 정치' 실험장인가
기초의원은 중앙정치와 달리 지역 실정에 맞는 실무 중심의 정치를 요구받는 자리다.
그러나 장 의원은 유독 중앙정치 프레임을 지역 의회에 이식하려는 듯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당 지도부의 기조와도 정면 배치되는 장 의원의 전략은, 결국 국민의힘의 내분 가능성을 노출시키고, 천안시의회 전체의 신뢰도를 저해하고 있다.
정치 전문가들은 “기초의원이 언론과 대립 구도를 만들고, 당내 균열을 노출시키며 이득을 보는 정치 방식은 **'다음 선거를 위한 포석'**일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한다.
특히 천안시 내 무당층이나 중도층을 대상으로 ‘소신 정치인’ 이미지를 만들어 차기 지방선거나 국회의원 출마를 염두에 둔 전략적 행보라는 해석도 제기된다.
'당을 딛고 나만 살아남겠다'는 이기주의 정치
정치에는 소신도 필요하지만, 소속 정당의 질서와 협력도 중요하다.
특히 국민의힘은 최근 단일대오와 내부 결속을 강조하고 있는 만큼, 장 의원의 이탈적 행보는 당 전체에도 부담이 되는 상황이다.
장 의원이 진정 시민을 위한 정치를 하고자 한다면, 당내 소통과 정책 대안 제시라는 정상적인 루트를 통해 변화와 개혁을 주도해야 한다.
정당의 지지와 도움으로 당선된 기초의원이 당을 흔들고 갈등을 키우는 방식으로 존재감을 키우려 한다면, 그 정치적 책임은 고스란히 유권자의 피로와 실망으로 되돌아올 것이다.
[마무리 코멘트]
장혁 의원은 스스로에게 물어야 한다.
지금의 정치적 행보가 과연 천안 시민을 위한 것인가, 아니면 본인을 위한 ‘정치적 독립 선언’인가.
기초의회가 정치 실험장이 되어서는 안 된다.
■ 여러분의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 전화 : 070-8080-3791 ▷ 이메일 : newsjebo@newskorea.ne.kr
▷ 페이스북 : '뉴스코리아' 검색, 그룹,페이지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뉴스코리아를 구독해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