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주요뉴스

본문영역

핀란드 탐페레 대학교, 재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성분 신축 건물에 재사용… 주요 국제 프로젝트 진행

  • 함영란 재외동포기자 italy@newskorea.ne.kr
  • 입력 2021.05.25 18:35
  • 수정 2021.12.27 19:35
  • 글씨크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건물이 철거되면 이 모든 콘크리트는 어떻게 될까? 핀란드의 탐페레 대학교가 이미 사용된 콘크리트 성분을 손상시키지 않고 해체해 신축 건물에 재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이 프로세스를 수익이 창출되는 비즈니스로 바꾸는 것을 목표로 하는 새로운 국제 ‘리크리에이트’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로마=뉴스코리아) 함영란 재외동포기자 = 콘크리트는 건축 자재로 널리 사용되지만 환경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건물이 철거되면 이 모든 콘크리트는 어떻게 될까? 핀란드의 탐페레 대학교(Tampere University)가 이미 사용된 콘크리트 성분을 손상시키지 않고 해체해 신축 건물에 재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이 프로세스를 수익이 창출되는 비즈니스로 바꾸는 것을 목표로 하는 새로운 국제 ‘리크리에이트(ReCreate)’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4년에 걸친 이 프로젝트는 EU의 호라이즌(Horizon) 2020 프로그램에 따라 1250만 유로의 자금을 지원받았다.

콘크리트는 적어도 반세기 넘게 전 세계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건축 자재였고 철거 폐기물과 건축 자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유럽에서 콘크리트 건물은 보통 미리 성형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성분을 사용해 건설된다. 새로운 콘크리트 성분을 제조하는 대신 기존의 성분을 재사용할 수 있다면 환경에 큰 이익을 가져다줄 것이다.

‘리크리에이트’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는 탐페레 대학교 건축 환경부의 사투 후카(Satu Huuhka) 겸임교수는 “콘크리트 성분을 재사용하면 엄청난 양의 에너지와 원자재를 절약할 수 있다”고 말했다.

탐페레 대학교 주도로 최근 시작된 국제 ‘리크리에이트’ 프로젝트(2021~2025)는 신축 건물을 짓는 과정에서 비난을 받는 콘크리트 성분의 새로운 용도를 모색하고 있다. 4년에 걸친 이 프로젝트는 유럽 연합의 호라이즌 2020 요구에 따라 자금을 지원받았고 건설 및 철거 폐기물 재사용을 위한 해법을 모색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의 전체 예산은 1250만유로이며 핀란드, 스웨덴, 네덜란드 및 독일 등 4개국의 대학과 지역 기업 클러스터가 참여하고 있다. 커뮤니케이션 파트너는 크로아티아의 그린 빌딩 위원회(Green Building Council)가 맡고 있다. 이 프로젝트에서 모든 국가 클러스터들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성분을 그대로 해체하고 이를 신축 건물에서 재사용하는 파일럿 프로젝트를 자체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후카 교수는 “우리는 분명히 새로운 것을 위한 원재료가 아니라 전체적으로 콘크리트 성분을 재사용할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기사를 후원합니다.

037-130689-04-011(IBK기업은행)
예금주 : 주식회사 뉴스코리아

후원하기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10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