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주요뉴스

본문영역

한국전쟁부터 현재까지 지속되는 남북한 심리전의 발자취

대남삐라, 대북삐라, 양측은 과연 어떤 내용을 담아 날려 보낼까?

  • 최신 기자 korea@newskorea.ne.kr
  • 입력 2024.07.24 20:41
  • 수정 2024.07.26 12:33
  • 글씨크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뉴스코리아=서울) 최신 기자 = 대한민국 건장한 남성들중 군복무를 최전방에서 해본 경험이 있다면, 한번쯤 접해봤을 우리나라에서 북한으로 날려보내던 대북삐라, 물론 그 반대로 북한에서 남한으로 날려보내는 대남삐라들도 상당했었다.

남방 한계선을 지나, GOP에서 통문을 지나 GP까지 내달리던 황금마차(이동식 간이매점)외엔 외부 소식이라곤 북쪽에서 들려오는 확성기 소리말곤 없던, 치마만 둘렀다면 할머니도 반갑던, 전방에서의 근무 기간동안, 수도 없이 근무지에서 발견되던 북에서 날아온 대남삐라들.

 

월북하면 남한돈 1억 1천1백만원이상을 보장한다는 대남 삐라 @DMZ박물관 자료 갈무리
월북하면 남한돈 1억 1천1백만원이상을 보장한다는 대남 삐라 @DMZ박물관 자료 갈무리
한국전쟁 당시 대남 선동용 삐라 @DMZ박물관 자료 갈무리
한국전쟁 당시 대남 선동용 삐라 @DMZ박물관 자료 갈무리
대남 삐라 @DMZ박물관 자료 갈무리
대남 삐라 @DMZ박물관 자료 갈무리

 

과거 80년대에만 하더라도 북에서 날려보낸 대남삐라를 줍거나 발견해서 군경에 신고하지 않고 개인이 보관했다가는 좌경사범으로 몰려 경을 칠 일이 생겼었고, 그 반대로 인근 군부대나 경찰관서에 삐라를 신고하면 공책이나 연필등 학용품들을 선물로 주었다.

최근 긴장감이 고조되는 남북관계만큼이나 북한에서 날려 보내는 쓰레기 가득한 오물풍선 소식을 근래들어 자주 접한다.

그럴때면 여지없이 국방부 관계자는 북에서 오물풍선을 투척할 때마다 우리측 대북 방송 재개와 대북삐라를 담은 풍선으로 맞대응 하겠다고 으름장을 놓고 있는 대립정국이 무한 반복되고 있다.

삐라의 어원은 영어 빌(Bill)의 일본식 발음으로 전단지를 가리키는 일본어 비라(びら)에서 유래된 말로 일제 강점기 이후로는 단순히 전단지라는 의미로 쓰였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대북 내지 대남 심리전 용도로 사용하는 전단지만을 삐라라고 일컫게 되었다. (여기서 영어 빌은 보통 식당의 계산서나 지폐를 뜻하지만 광고전단이나 벽보를 뜻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과거 대한민국에서 북한으로 날려보낸 대북삐라들은 과연 어떤 내용을 담아 보냈을까?

 

북한으로 날려보낸 빠라 @DMZ박물관 자료 갈무리
북한으로 날려보낸 빠라 @DMZ박물관 자료 갈무리

 

북한으로 날려보낸 빠라 @DMZ박물관 자료 갈무리
북한으로 날려보낸 빠라 @DMZ박물관 자료 갈무리

 

북한으로 날려보낸 빠라 @DMZ박물관 자료 갈무리
북한으로 날려보낸 빠라 @DMZ박물관 자료 갈무리
북한으로 날려보낸 빠라 @DMZ박물관 자료 갈무리
북한으로 날려보낸 빠라 @DMZ박물관 자료 갈무리
북에서 월남할때 이 삐라를 지참하면 우대(?)받던 80년대 @DMZ박물관 자료 갈무리
북에서 월남할때 이 삐라를 지참하면 우대(?)받던 80년대 @DMZ박물관 자료 갈무리
먹거리가 부족하던 북한으로 올림픽을 전후로 한국의 간식들을 가득 담은 사진들과 미스코리아의 미인들의 사진을 날려보내던 시기 @DMZ박물관 자료 갈무리
먹거리가 부족하던 북한으로 올림픽을 전후로 한국의 간식들을 가득 담은 사진들과 미스코리아의 미인들의 사진을 날려보내던 시기 @DMZ박물관 자료 갈무리
한국의 대표적 기업인 삼성의 카파 손목시계를 삐라에 담아 북으로 날려보내기도 했었다. @DMZ박물관 자료 갈무리
한국의 대표적 기업인 삼성의 카파 손목시계를 삐라에 담아 북으로 날려보내기도 했었다. @DMZ박물관 자료 갈무리

 

북한에서 우리쪽으로 날려보내는 대남삐라의 내용 대부분은 북한 체제 찬양과 미국과 남한을 비방하는 내용이 대부분이다. 그에 반해 한국에서 북한으로 날려보내는 대북삐라의 내용은 북한 인민군들을 대상으로 한 미인계가 많이 사용되었고, 한국의 경제성장과 경제력 담은 내용이 대부분이다. 

이는 북한은 남한의 정권을 비방하는 내용을 담아 대남삐라를 보내는것에 비해 우리는 상대적으로 북한 정권을 자극하는 내용은 최대한 자제한 내용들로 대북삐라를 제작하여 북한으로 날려보내고 있는 셈이다. 

 

 

 

 

 

본 기사는 독자들이 후원 해주시는 소중한 후원금으로 제작 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익하셨다면 기자에게 원고료를 후원해주세요.
아래 후원하기를 누르신후 추천인란에 담당 기자의 이름을 적어주시면 기자에게 원고료가 지급 됩니다.

이 기사를 후원합니다.

037-130689-04-011(IBK기업은행)
예금주 : 주식회사 뉴스코리아

후원하기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10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