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코리아=평택) 최신 기자 = 한국마사회가 경주마들을 여성 혹은 여성 미성년자로 의인화해 물의를 일으켰던 게임 콘텐츠를 모방해 자체 유튜브 콘텐츠를 제작했던 사실이 드러났다.
이병진 더불어민주당 평택을 의원은 마사회가 2023년 카카오 게임 콘텐츠 ‘우마무스메’(말의 딸)를 따라 해 유튜브를 제작했다가 삭제한 것을 확인했다. ‘우마무스메’게임은 암컷, 수컷 말들을 여성으로 의인화하고 자극적이고 성적인 이미지로 성 상품화하여 출시 이후 물의를 일으켰던 콘텐츠다. 이 중에는 교복을 입은 캐릭터도 있어 미성년자 성 상품화 논란도 일으켰다.
마사회는 저작권 문제를 이유로 콘텐츠를 내렸다고 설명했지만, 마사회의 성 상품화와 성인지 의식에 심각한 문제가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마사회가 제작한 콘텐츠는 마사회 아나운서가 한국 경주마의 특징을 AI 프로그램에 입력하며 우마무스메 풍 캐릭터를 생성해 여성 아나운서들이 경악하는 제스처를 담은 내용을 담고 있다.
이에 이병진 의원은 16일 농해수위 업무보고 질의를 통해 마사회의 성인지 의식의 결여로 기획 단계에서 문제가 될 부분을 검토하지 못하고 콘텐츠 제작까지 이어졌다고 비판했다. 뒤이어,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기관 분위기 쇄신을 위한 노력도 주문했다.
마사회는 이번 경주마 여성 의인화뿐만 아니라 2018, 2022년에도 성 비위 문제를 일으켜 국회에서 지적받은 바 있다. 2018년에는 성 비위 사건으로 간부급 임직원 4명이 징계처분을 받았으며, 2022년에는 사내 성추행 사건 처리 과정에서 2차 가해가 발생해 관리 부실 문제가 대두됐다. 한국마사회에서 이 같은 일이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것은 제 식구 감싸기식 솜방망이 처벌로 조직 기강이 해이해졌다는 지적이다.
이병진 의원은 “경주마를 교복 입은 소녀로 의인화해 배포하기까지 무엇이 문제인지 인식한 임직원이 없었다는 것”이라며 “여성 임원들이 있어서 눈치 볼 사람이 있었다면 이런 문제가 발생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고 탄식했다. 또한 “진정한 기업문화 개선과 재발 방지를 위해 정기환 마사회장의 결단과 대안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공공기관에게 더 높은 성 인식을 가질 때임을 촉구했다.
한편, 이병진 의원(평택을)이 마사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현재까지 7명의 상임임원 중 여성임원은 한 명도 없으며, 24년 7월 기준 상임위원·일반직 1급·일반직 2급 총 107명 중 여성은 단 1명뿐이었다. 3급까지 범위를 확대해도 총 216명 중 여성은 32명뿐이다.(아래 표)
[표1. 마사회 일반직 직급별 성별 현황]
(출처: 마사회, 24.7.15 기준/ 단위: 명)
|
구 분 |
남성 |
여성 |
계 |
|
1급 |
17 (100.0%) |
- |
17 (100%) |
|
2급 |
82 (98.8%) |
1 (1.2%) |
83 (100%) |
|
3급 |
185 (85.6%) |
31 (14.4%) |
216 (100%) |
|
4급 |
253 (67.3%) |
123 (32.7%) |
376 (100%) |
|
5급 |
88 (67.2%) |
43 (32.8%) |
131 (100%) |
|
6급 |
12 (92.3%) |
1 (7.7%) |
13 (100%) |
|
계 |
637 (76.2%) |
199 (23.8%) |
836 (100%) |
■ 여러분의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 전화 : 070-8080-3791 ▷ 이메일 : newsjebo@newskorea.ne.kr
▷ 페이스북 : '뉴스코리아' 검색, 그룹,페이지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뉴스코리아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