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코리아=서울) 최신 기자 = 대한민국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위원장 석현정, 이하 공노총)과 전국공무원노동조합(위원장 이해준, 이하 전공노)이 12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인근에서 ‘공무원 소득공백 해소를 위한 노‧정 협의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의 약속 이행과 실질적인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공노총은 지난 2015년 공무원연금법 개정 당시 정부가 약속한 ‘노후 소득공백 해소 방안’이 10년째 지켜지지 않고 있다며, 2023년 퇴직자 일반임기제 재채용 합의안의 이행을 촉구해왔다.
하지만 정부가 여전히 침묵으로 일관하자, 이번에는 대통령실 앞에서 직접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이날 기자회견은 석현정 공노총 위원장의 대표 발언을 시작으로 김민성 전국시군구공무원노동조합연맹 사무총장의 현장 발언, 정우철 공노총 부위원장의 공동 기자회견문 낭독 순으로 진행됐다.
참석자들은 ‘노후 소득공백 해소’, ‘노정협의체 구성’ 등의 문구가 적힌 손팻말을 들고 구호를 외치며 정부의 태도 변화를 촉구했다.
석현정 위원장은 “공무원 노동자들이 피눈물을 흘린 지난 2015년 이후 10년이 지났지만 달라진 것은 없다”며 “정부는 하루빨리 공무원 노동자의 노후소득 공백을 해소할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고, 대화 채널과 협의기구를 구성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민성 사무총장은 “현장에서는 소득공백을 앞둔 선배들의 체념과 불안을 지켜보는 후배들의 좌절이 이어지고 있다”며 “정부는 공직사회의 노후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실질적인 대책을 즉각 마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공동 기자회견문을 낭독한 정우철 부위원장은 “정년퇴직 후 연금 개시 연령인 65세까지 최대 5년간 아무런 소득이 없는 현실은 평생을 국가에 헌신한 공무원들에게 경제적 사형선고나 다름없다”며 “정부는 정년 연장을 포함한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하고, 노정협의체를 즉각 구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공노총과 전공노는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정년 연장을 포함한 근본적 해결방안 제시 ▲소득공백이 발생한 퇴직자에 대한 대책 시행 ▲공무원연금 소득공백 문제 해결을 위한 노정협의체 구성을 정부에 공식 요구했다.
공노총 관계자는 “민간 노동자의 정년 연장은 논의하면서 공무원만 외면하는 정부의 이중 잣대에 깊은 유감을 표한다”며 “공무원들의 정당한 권리와 안정된 노후가 보장될 때까지 투쟁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 여러분의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 전화 : 070-8080-3791 ▷ 이메일 : newsjebo@newskorea.ne.kr
▷ 페이스북 : '뉴스코리아' 검색, 그룹,페이지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뉴스코리아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