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주요뉴스

본문영역

최근 5년간 농업용 드론(멀티콥터) 보유 및 사고 급증하는데, 사고 현황 및 실태조사는 미실시

- 2024년 전국 시도별 농업용 드론 2,910개 보유, 2020년 대비 149% 증가
- 관계부처(농림축산식품부, 농촌진흥청) 사고 현황 및 실태조사는 미실시
- 이병진 의원 “농업용 드론 확대 보급에 따른 세심한 정부 정책 뒷받침되어야”

  • 김성덕 기자 dougkim@newskorea.ne.kr
  • 입력 2025.09.24 22:28
  • 글씨크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도별(2020)                        

                                                                                                                                (단위 :    대)

·

농업용 멀티콥터

·

농업용 멀티콥터

서울

-

강원

16

부산

12

충북

44

대구

4

충남

335

인천

7

전북

253

광주

-

전남

336

대전

-

경북

37

울산

-

경남

100

세종

-

제주

3

경기

21

1,168

 

 

(뉴스코리아=평택) 김성덕 기자 = 전국 농업용 드론 수는 급증하는 반면, 사고 현황은 물론 실태조사조차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병진 국회의원(평택을)이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제출받은 「최근 5년간 농업용 드론 보유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시도별 농업용 멀티콥터는 총 2,910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 ·도별(2024)

(단위 : )

·

농업용 멀티콥터

·

농업용 멀티콥터

서울

-

강원

137

부산

12

충북

100

대구

11

충남

764

인천

27

전북

578

광주

11

전남

833

대전

-

경북

165

울산

1

경남

201

세종

1

제주

22

경기

47

2,910

 

 

연도별 농업용 드론 보유 현황은 △20201,168대 △20211,661대 △20222,098대 △20232,555대 △20242,910대로 2020년 대비 2024년에 농업용 드론 보유량은 1,743(149%)가 증가했다.

지역별 농업용 드론 보유 현황은 2024년 기준으로 △전남 833대 △충남 764대 △전북 578대 △경남 201대 △경북 165대 △강원 137대 △충북 100대 △인천 27대 △제주 22대 △부산 12대 △광주ㆍ대구 11대 △세종ㆍ울산 1대 순으로 많았다.

2020년 대비 2024년 농업용 드론 보유량 증가폭은, 지역별로 △전남 497대 △충남 429대 △전북 325대 △경북 128대 △강원 121대 △경남 101대 △충북 56대 △인천 20대 △ 제주 19대 △광주 11대 △대구 7대 △세종ㆍ울산 1대 순이다.

2020년 대비 2024년 농업용 드론 보유량 증가율은, 지역별로 △강원 756% △제주 633% △경북 345% △인천 285% △대구 175% △전남 147% △전북 128% △충남 128% △충북 127% △경기 123% △경남 101% 순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경기 평택시을 이병진 국회의원 @이병진 의원실
더불어민주당 경기 평택시을 이병진 국회의원 @이병진 의원실

 

오늘날 농업용 드론은 파종, 시비, 방제 등을 수행하고, 작물 모니터링, 생육상태 파악 등에 적극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한편, 지난달 21일 논산에서 농업용 드론 배터리 발화 추정 화재로 2,100만 원의 피해가 발생하는 등 농업용 드론 확산에 따른 피해도 증가하고 있다.

이병진 의원실이 최근 5년간 농업용 드론 사고 현황 자료를 요청하였으나,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업용 드론 수만을, 농촌진흥청은 농사용 기계 수만을 파악하고 있으며, 사고 현황은 별도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답변만 받았다. 사고 현황 파악과 실태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농업인 안전이 사실상 사각지대에 놓여있다는 것이 이 의원의 지적이다.

이병진 의원은 스마트 농업이 빠르게 진화한 만큼, 농업 현장의 안전망도 촘촘히 갖춰야 한다, “신속하고 체계적인 현상 파악이 되도록 제도적 보완책을 마련해 지속 가능한 농촌을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 전화 : 070-8080-3791 ▷ 이메일 : newsjebo@newskorea.ne.kr
▷ 페이스북 : '뉴스코리아' 검색, 그룹,페이지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뉴스코리아를 구독해주세요!

이 기사를 후원합니다.

037-130689-04-011(IBK기업은행)
예금주 : 주식회사 뉴스코리아

후원하기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10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