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주요뉴스

본문영역

[칼럼] 한패스 카드 사용기. 어떤 혜택이길래?

  • 장현아 기자 newsjebo@newskorea.ne.kr
  • 입력 2022.03.04 11:17
  • 수정 2024.07.12 00:05
  • 글씨크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뉴스코리아=서울) 장현아 기자 = 한패스는 핀테크 서비스로 간편한 해외송금 어플로 최근 각광받고 있다. 또한 365일, 24시간 송금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국내에서 가장 많은 200여개 국가로 해외 송금이 가능하다.
이러한 한패스가 최근 월렛과 연결된 선불카드 서비스를 런칭했다. 한패스에서 발급하는 카드는 어떤 혜택이 있을까? 기자가 직접 사용해 보

았다.

 

1. 발급

우선 한패스 카드는 한패스 어플을 통해 발급이 가능하다.

(1) 한패스 어플 메인 화면에서 한패스 카드 클릭

(2) 카드 정보 확인 및 신청

(3) 카드 디자인 선택

(4) 사용자 정보 입력

(5) 옵션/ 페이 서비스 이용 여부 선택

(6) 신분증 촬영

(7) 카드 신청 확인/ 등록 및 배송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한패스 어플 화면
한패스 어플 화면

 

2. 0.3% 캐시백 제공

우선 한패스 카드는 일반 카드와 같이 쓸 수 있었다. 그 중 좋았던 점은, 0.3% 캐시백을 제공한다는 것. 결제 즉시 월렛으로 0.3% 캐시백이 들어와서 혜택을 바로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소비가 많을 경우 돌아오는 페이백도 많기에 잠정적으로 소비자에게 이익이 되는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3. 교통카드 기능 제공

국내에서 카드를 사용하려 할 때, 교통 카드가 되지 않아 일일이 탑승권을 끊어야 하는 불편한 경험을 한번쯤 해본 적이 있었을 것이다. 한패스 카드는 그러한 단점을 완벽히 보완하였다. 사전에 교통카드를 미리 충전한다면 국내 교통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카드로 교통카드를 이용할 수 있는 측면이 좋았다.

단점이라고 한다면 아직 국내에서 많이 활성화되지 않았기에 인지도가 낮은 것이다. 하지만 한패스 카드는 다양한 혜택으로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패스 카드는 한패스 어플로 발급가능하다. 사용자 정보를 기입하고 페이 서비스 이용 여부에 따라 카카오 페이 등도 연동가능하니 참고하자.

 

 

 

본 기사는 독자들이 후원 해주시는 소중한 후원금으로 제작 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익하셨다면 기자에게 원고료를 후원해주세요
아래 후원하기를 누르신후 추천인란에 담당 기자의 이름을 적어주시면 기자에게 원고료가 지급 됩니다.

이 기사를 후원합니다.

037-130689-04-011(IBK기업은행)
예금주 : 주식회사 뉴스코리아

후원하기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10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