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코리아) 이국천 기자 = 사단법인 더 브릿지(대표 황진솔)가 주최하고, NED(전미 민주주의기금)가 지원하는 ‘‘한반도 임팩트 메이커스 솔루션 발표회’’ 가 2월 28일 저녁 7시에 오프라인(대면)으로 진행됐다.
한반도 임팩트 메이커스 2기는 탈북민 청년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기획한 북한 현지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해 남북한 청년들이 한 팀을 이루어 솔루션을 도출하는 9주간의 프로그램이다.
지난 1월 3일부터 2월 28일까지 9주간 진행된 한반도 임팩트 메이커스 2기는 남북한 청년들이 함께함으로써 북한 주민들의 인권을 증진하고, 남북한 청년들이 통일을 실질적으로 연습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각 팀은 남북한 청년들, 청년 북한 인권 활동가를 포함한 5인 1조로 구성되었으며, 식품/보건, 문화/예술, 식수/보건, 교육/불평등, 여성/불평등, 여성/보건, 연료/에너지 등 북한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창의적 솔루션을 제시했다.
각 팀의 솔루션을 심사는 북한과 통일에 전문성을 갖춘 5명의 심사위원단으로 (사)더 브릿지 황진솔 대표, 심연북한연구소 최설 박사, 통일아카데미 강신삼 대표, (사)더 브릿지 김병학 이사, 숭실평화통일연구원 전순영 박사가 맡았다.
(사)더 브릿지 김병학 이사는 “8주 동안 귀중한 시간을 들인 솔루션을 발표하는 자리라 기대를 많이 하고 있다. 과거를 돌이켜봤을 때, 이노베이션이나 솔루션들은 꾸준히 단계를 밟아 나가면 3개월, 6개월, 1년 뒤에 결과들이 나타나는 것 같다. 오늘을 포함한 9주의 시간을 통해 여러분들도 그런 경험을 할 수 있길 바란다”며 환영사를 전했다.
탈북민 청년 참가자들은 “많은 한국 청년들이 북한 인권에 높은 관심을 갖고 있다며, 북한 현지 문제들은 결코 작은 문제가 아닌, 남북한 청년들 모두 하나가 될 때 반드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북한 사람들이 북한 인권과 북한 내부의 문제에 대해 관심을 갖는 것이 더욱 중요함을 인식하게 되었다. 열정적이고 북한 인권에 관심 있는 친구들과 함께 북한 인권 문제를 나눌 수 있어서 좋았다”, “남북한 청년들이 서로 마음의 장벽을 허물 수 있는 계기들이 많아져야 한다. 이런 맥락에서 한반도 임팩트 메이커스 활동은 또 다른 형태의 남북한 통일이라고 생각한다”라는 참여 소감을 밝히기도 했다.
또 다른 청년 참가자들은 “이번 활동을 통해, 통일이 된 이후 한반도의 모습을 아직은 알 수 없지만, 통일 이후 남북의 통합은 ‘우리가 준비해가기 나름이다’라는 생각을 했다”, “북한 주민들이 일상에서 겪는 어려움이 생각보다 더 크고, 생활환경이 열악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한반도를 살아가는 사람으로서 북한의 문제를 방관해서는 안 된다는 생각을 다시 한번 갖게 되었다”라는 프로그램 참여 소회를 전했다.
본 기사는 독자들이 후원 해주시는 소중한 후원금으로 제작 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익하셨다면 기자에게 원고료를 후원해주세요.
아래 후원하기를 누르신후 추천인란에 담당 기자의 이름을 적어주시면 기자에게 원고료가 지급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