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코리아=수원) 권순철 기자 = 수원시가 '따뜻한 돌봄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4가지 필라(pillar)를 제시함으로써 사각지대 없는 복지 시스템을 구축하겠다는 의지를 공고히 했다.
지난 6월 발생한 '냉장고 영아 시신' 사건은 출생신고 시스템에 허점이 있음을 보였지만, 더욱 촘촘해진 복지 그물망을 통해 위와 같은 비극의 재발을 방지하고 진정한 '돌봄 특례시'로 성장하겠다는 계획이다.
29일 수원시 복지여성국 정례 브리핑에서 박란자 복지여성국장은 '차별 없이 따뜻한 돌봄도시'로 부상하기 위한 4가지 전략을 발표했다.
서두에서 그는 '세 모녀 사건' 등과 같이 여전히 존재하는 복지 사각지대로 인해 발생한 비극들을 언급하면서 더 이상 이를 반복하지 않으며 사람들이 체감할 수 있는 복지 정책들을 고민했다고 말했다.
수원시가 돌봄 특례시로 나아가고자 제시한 첫 번째 기둥은 '통합돌봄 플랫폼의 구축'이다.
박 국장은 크게 수원새빛돌봄과 사회복지 민관 자원공유시스템 활성화라는 두 핵심 사업을 기초로 통합돌봄 플랫폼을 구현하겠다고 말했다.
수원새빛돌봄은 지난 7월 1일부터 수원시 내 8개 동에서 시범 실시한 사업으로, 수요자의 신청이 원칙인 기존 제도와는 다르게 수요자를 시에서 직접 발굴한다는 차이가 있다.
관할 동의 전담공무원을 '돌봄플래너'로 지정하여 마을에 정통한 이웃을 '새빛돌보미'로 선정한 뒤 돌봄이 필요한 시민을 먼저 찾아내는 구조다.
수원시는 8월 24일 기준 840여 명의 시민들이 새빛돌봄 서비스 상담을 받았고 720명이 신청했다고 알렸다.
통합돌봄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한 축인 사회복지 민관 자원공유시스템은 사회복지시설 등에 접수되는 후원 물품을 가장 필요로 하는 시민들에게 전달하는 시스템의 구축을 골자로 한다.
이를 위해 수원시는 복지 자원의 수요 및 공급 데이터를 전산화하여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했으며, 민관 기관 40개소의 참여를 이끌어내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돌봄 특례를 이루고자 제시한 두 번째 기둥은 '평등한 포용사회'의 조성이다.
수원시는 여기에 '다양성이 존중되는'이라는 어구를 추가함으로써 1인가구, 국가유공자, 외국인 등 외면받기 쉬운 다양한 형태의 가구가 혜택을 받을 수 있게끔 지원책을 구성했다고 발표했다.
노인 및 장애인을 위한 복지행정도 돌봄 특례시로 나아가기 위한 필수적인 단계임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아동 친화적인 복지를 강화할 수 있는 정책들을 제시함으로써 4개의 전략들에 대한 소개를 마무리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 전화 : 070-8080-3791 ▷ 이메일 : newsjebo@newskorea.ne.kr
▷ 페이스북 : '뉴스코리아' 검색, 그룹,페이지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뉴스코리아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