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코리아=천안) 최신 기자 = 18일 화요일, 천안시 동남구 풍세동 이랜드 창고에서 발생한 대형 화재로 인해 건물은 구조물을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처참히 붕괴됐다.
연기와 열기로 뒤틀린 철골, 녹아내린 외벽, 잔재를 덮은 검은 재가 곳곳에 쌓인 현장은 화재 당시의 위력을 고스란히 보여주고 있었다.
천안시의회, 초동 대응부터 진화까지 현장 점검
화재 발생 직후 천안시의회 의원들은 초동 대응 상황과 진화 과정 전반을 확인하기 위해 현장을 방문했다.
김행금 의장을 비롯해 여러 시의원이 화재 지휘본부와 소방 관계자들로부터 상황을 보고받으며, 진화 과정과 안전 조치의 적정성을 함께 점검했다.
의원들은 직접 건물 외곽과 접근 가능 구역을 둘러보며 피해 범위와 잔존 위험 요소를 확인했다.
목발을 짚고 조심스럽게 현장 구석구석을 살핀 이상구 의원의 모습도 눈에 띄었으며, 이는 현장의 위중함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장면이었다.
시의회 내부 반응… “보고서로는 절대 알 수 없는 것들”
현장을 직접 확인한 의원들 사이에서는 기존 안전관리 체계의 실효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됐다.
이지원 의원은
“현장에서 직접 보니 구조적 취약점이 더 명확하게 보인다.
서류 보고만으로는 놓치는 부분이 많다.”
고 말했다.
유수희 원내대표는
“대형 창고시설 증가와 관리 시스템을 종합적으로 다시 점검해야 한다.
예방 중심의 정책이 필요하다.”
고 강조했다.
주민들 “이번이 처음 아니다… 구조적 대책 필요”
풍세 일대 주민들은 이번 화재가 ‘또다시 반복된 사고’라는 점에서 불안감을 감추지 못했다.
한 인근 지역 주민은
“이 주변에서 큰불이 난 게 이번만이 아니다.
창고가 늘어나는 만큼 위험도도 커지고 있다.”
고 지적했다.
또 다른 주민은
“오늘 같은 대형 화재에서 인명 피해가 없었다는 게 정말 다행이다.
하지만 이런 일이 반복되면 언젠가는 큰 참사로 이어질 수 있다.”
고 우려를 표했다.
현장을 방문한 천안시의원들에게 긍정적인 반응도 있었다.
“직접 와서 보고 들은 뒤 대책을 세우는 건 정말 필요하다.
시민 의견이 반영될 수 있기를 바란다.”
는 기대의 목소리도 확인됐다.
반복되는 풍세 화재… 근본 원인 점검 요구 커져
풍세 지역은 최근 몇 년간 크고 작은 화재가 잇따라 발생한 곳이다.
창고·물류시설의 밀집, 전기·적재 구조의 위험성, 도로 접근성 등 복합 요인들이 위험도를 높인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시의회는 이번 사고를 계기로
-
창고시설 안전 기준 강화
-
인허가 과정의 점검 체계 재정비
-
도시계획 차원의 위험도 분석
-
전기·기계 설비에 대한 주기적 관리 강화
등을 종합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현장이 답이다”… 시민 의견 기반 대책 예고
김행금 의장은
“보고서와 회의실로는 한계가 있다.
현장이 답이다. 직접 보고, 직접 듣고, 시민이 무엇을 우려하는지 정확히 반영하는 시의회가 되겠다.”
고 밝혔다.
또한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 개선과 현장 중심의 정책 마련에 더욱 힘쓰겠다”
며 책임감을 드러냈다.
피해 시민·관계자·소방·경찰에 감사
시의회는 이번 화재로 인해 직·간접적 피해를 입은 시민들과 관계자들에 위로를 전하며,
신속한 진화로 대형 참사를 막은 소방대원·의용소방대·경찰 인력에게 깊은 감사를 표했다.
마지막으로 시의회는
“이번 사고를 계기로 풍세 지역의 안전 구조를 다시 설계하고, 시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대책을 마련하겠다”
고 약속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 전화 : 070-8080-3791 ▷ 이메일 : newsjebo@newskorea.ne.kr
▷ 페이스북 : '뉴스코리아' 검색, 그룹,페이지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뉴스코리아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