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코리아=천안) 최신 기자 = 천안시의회 의원들이 추석 연휴를 전후해 전통시장, 복지시설 등을 잇따라 찾으며 민생 점검에 나섰다.
겉으로는 ‘명절 인사’와 ‘애로 청취’지만, 정치권 안팎에서는 2026년 지방선거를 향한 민심 접촉의 포석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 민생·복지 메시지 강화…의장단 중심
김행금 천안시의회 의장은 전통시장 행보에서 “전통시장은 지역 공동체의 뿌리”라고 강조했다.
이종만 복지문화위원장 역시 사회복지시설 위문에 직접 참여해 ‘복지 의정’을 부각했다.
상임위원장급 인사들이 중심에 선 것은, 향후 의정 성과를 구체화하는 동시에 차기 정치 무대에서의 입지 다지기와 무관치 않다는 평가다.
■ 경제·생활현안 이슈 선점
강성기 경제산업위원장, 정도희 의원, 권오중 의원은 시장 상인들의 목소리를 청취하며 생활밀착형 이슈를 선점했다.
특히 물가·주차·교통 혼잡 등 주민 체감도가 높은 현안이 주요 키워드였다.
의원 개개인이 개별 의정 공약이나 지역구 현안과 연결 가능한 지점을 확보한 것으로 풀이된다.
■ 총선 앞둔 ‘민심 행보’ 성격 짙어
지역 정가에서는 이번 행보가 단순한 명절 일정에 그치지 않고 지선을 앞둔 여야 정치권 움직임과 연동된 것으로 본다.
천안은 충남 내 최대 선거구로 분류되며, 여야 모두 전략적 중요성을 두고 있는 지역이다.
실제로 시의원들의 민생 현장행보는 향후 총선 출마 가능성을 탐색하는 사전 포석 성격이 짙다는 분석이 나온다.
■ 지방선거 구도와도 맞물려
2026년 지방선거에서는 현직 시의원들의 재출마·광역의원 도전이 불가피하다.
따라서 이번 추석 연휴 일정은 단순 민심 청취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추석 민심을 선점한 자가 내년 지방선거 국면에서도 우위를 확보한다”는 공식이 천안에서도 작동하고 있다는 것이 지역 정가의 평가다.
■ 의회의 과제 — 민생성과로 이어질까
비판적으로는 “현장행보가 이벤트에 그치면 곧바로 정치적 제스처로만 비춰질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전통시장, 복지시설에서 청취한 목소리가 향후 실질적 조례 제·개정, 예산 반영 등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면 정치적 신뢰를 잃을 위험이 크다는 의미다.
⬤ 종합 분석
천안시의회 의원들의 이번 추석 연휴 동향은 민생 현장을 통한 정치적 존재감 부각으로 요약된다.
의장단과 상임위원장이 앞장서면서 각자의 정치적 셈법이 교차했으며, 내년 지방선거를 앞둔 전초전 성격도 배제할 수 없다.
정치권 관계자의 말처럼,
“추석은 단순한 명절이 아니라 충청권 민심을 가늠할 수 있는 바로미터다. 천안시의원들의 이번 행보는 곧 향후 정치적 행보의 방향타가 될 것이다.”
■ 여러분의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 전화 : 070-8080-3791 ▷ 이메일 : newsjebo@newskorea.ne.kr
▷ 페이스북 : '뉴스코리아' 검색, 그룹,페이지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뉴스코리아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