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코리아=서울) 허승규 기자 = 2024년도 정부 예산안을 살펴보면, 다문화가족과 한부모가족, 아이 돌봄 서비스를 통해 복지와 지원을 강화하며, 사회적 다양성과 가족 다양성을 존중하는 정책적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한 중요한 투자로 평가된다.
이에 해당 사업의 주관부처인 여성가족부는 약자복지·저출산 대응에 집중 투자하고,민간보조사업 등 구조조정을 통해 재원 절감하겠다고 밝혔다.
2024년 여성가족부 예산안은 ▲한부모가족, 다문화가족 등 사회적 약자 보호와 저출산 대응을 위한 맞춤형 가족서비스 확대 ▲취약·위기가족 지원 강화 ▲지출구조 혁신을 통한 사업 효율화에 중점을 두고 편성했다. 특히 실효성이 미흡한 민간단체 공모사업, 부처간 유사·중복사업을 통·폐합하는 등 지출 구조를 혁신해 예산을 효율화한다.
우선 다문화가족 자녀의 성장단계에 맞춰 취학전부터 기초학습을 지원하고 정서·진로상담을 확대한다. 기초학습은 기존 138곳에서 168곳으로, 진로상담은 113곳에서 143곳으로 관련 기관을 늘린다.
결혼이민자 맞춤형 직업훈련과정을 신설해 취업 지원도 강화할 계획으로, 교육활동비의 경우 중위소득 50%~100% 이하 저소득 다문화가족의 초·중·고 자녀 대상 교육급여의 80% 수준을 지급한다.
또한 저소득 다문화가족 자녀에게 교육활동비를 신규로 지원하는 한편 다문화가족 자녀가 가진 강점을 개발할 수 있도록 이중언어 학습지원을 신규 제공한다.
여성가족부는 다문화 아동·청소년이 다문화가족의 강점을 살려 국제적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2014년부터 전국 가족센터에서 다문화가족 자녀들에 대한 '이중언어 가족환경 조성사업'을 추진해왔다.
한부모·조손·다문화·1인 가구 등 대상별로 지원해 오던 사업은 통합하고, 취약·위기가족 통합지원 사업을 신규로 추진한다.
이를 위해 가족센터 180곳을 운영하며 지역사회 중심의 자녀 돌봄 지원을 위해 공동육아나눔터를 기존 395곳에서 435곳으로 확대한다.
한편, 교육부는 대학생 멘토가 다문화·탈북학생의 기초학습과 학교생활 적응을 돕는 다문화·탈북 멘토링 지원 사업 인원을 4000명에서 8000명으로 두 배로 확대했고, 지원단가도 1만3000원에서 1만5000원으로 증액한다.
■ 여러분의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 전화 : 070-8080-3791 ▷ 이메일 : newsjebo@newskorea.ne.kr
▷ 페이스북 : '뉴스코리아' 검색, 그룹,페이지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뉴스코리아를 구독해주세요!